건강&치유•여행

과일 '간식지원'... "예산 전액삭감이 웬말이냐!" 졸속행정에 농가들 분통

- 한국과수농협연합회 긴급성명 발표... 아이들 '과일간식지원사업’ 반드시 내년 예산반영 촉구
- 생산농가도 도움되고 아이들 건강에도 도움되는 국산 과일소비 촉진
- 과일 간식지원사업 의견... 학부모 92% 높은 만족도와 전체학년 확대의견도 91.9%
- "문재인정부가 약속한 안전한 먹거리 보장과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 방안, 국회에서 반드시 관철해야"

아이들 과일 간식지원사업 예산이 전액 삭감되는 졸속행정으로 농가들이 분통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과수농협연합회는 아이들 '과일간식지원사업’에 반드시 내년 예산반영에 촉구하는
긴급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이다.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비만은 식생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어릴적부터 익숙해진 서구식 식습관과 인스턴트 음식, 육식 습관으로 인하여 발생한 아동비만은 당뇨, 고혈압 등 성인병에서 주로 나타나는 질환의 조기 발현으로 어린이, 청소년들의 여러 가지 건강한 일상을 방해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율이 지속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의 식습관을 개선하고 균형 잡힌 식생활을 통한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초등돌봄교실을 대상으로 과일 간식을 지원사업을 해왔다. 문재인 정부가 약속한 농정틀 근본 전환을 위한 특단 대책으로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 보장과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 방안으로 2017년부터 과일 간식 지원사업을 도입하여 4년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이 2022년 사업비 전액 삭감이라는 어처구니없는 예산부처의 결정에 한순간에 사라질 예정이다.

과일 간식 지원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92%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생의 건강증진과 식습관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96%, 초등돌봄교실 뿐 아니라 전체학년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91.9%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가정이 아닌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제철 과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과 혼자서는 과일을 잘 먹지 않는 아이도 선생님 지도하에 또래 친구들과 함께 과일 간식을 즐기면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인해, 학부모 절대다수가 높은 만족도와 필요성에 공감하고 전 학년 확대에 찬성하고 있다.

또한 과일 간식을 제공받은 초등학생도 과일 간식을 계속 원한다는 답변이 90.2%이며 과일 맛은 좋거나 보통이 92.6% 과일 양은 적당·많음이 86.3%로서 긍정적인 반응이었으며 과일 간식을 지원받은 돌봄 어린이의 ‘국산 과일 섭취 빈도’와 ‘국산 과일 선호도’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내년도 국가 전체 예산을 역대 ‘초슈퍼예산안’으로 대폭 확대하는 상황에서 아이들한테 건강한 먹거리를 주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예산편성을 안하고 ‘과일 간식 지원사업비’ 전액 삭감이라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는 졸속행정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수입 개방에 따른 외국산 과일 수입 급증, 국산 과일 소비 감소, 가격 급등락, 인건비·자재비 폭등, 화상병 발생 등 생산자들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래의 희망마저 짓밟아버리는 행정이 이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20만 과수 농업인은 “과일 간식 지원사업”이 계속하여 지원될 수 있도록 국회에서 관철되도록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진흥청,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