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사료값 줄줄이 인상... 축산농가들 속앓이

한우협회 "사료값 인상, 사료업체들 상생 정신을 바란다"
"농가와 고통을 분담하고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는 사료업체 돼야"

국제 곡물 수급상황이 악화되면서 사료값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불경기까지 뒷따라 오면서 축산농가들 속 앓이가 커지고 있다.
이같은 농가들 심정을 담은 농민단체들의 호소섞인 성명서도 연일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은 한우협회 성명서 전문이다.

 

[성명서전문] 사료업체들이 또 한 번 농가를 외면했다. 올해 2~3월 주요 해외 곡물가격과 해상운임료 인상을 이유로 업체별 사료가격을 1포당 1,000원 이상 인상한데 이어, 7월 1일을 기점으로 또 한 번 1포당 1,000원~1,250원 정도 추가 인상했다. 그리고, 이에 질세라 농협사료마저 사료가격 인상을 7월 말 중 계획하고 있어 농가들의 절망과 불안감이 가득하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코로나19의 고통 속에, 계속되는 각종 축산업 규제 강화와 생산비 증가로 농가들은 어려움 속에 연명해 가고 있다. 특히, 사료비는 생산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사료가격 인상은 농가에게 치명적인 생계압박을 주고 있다. 이에, 올해만 15~20% 인상된 사료비로 농가들은 허울 좋은 한우 가격 위에서 빚더미에 나앉게 생긴 판이다.

물론 옥수수, 소맥, 대두박 등 배합사료에 많이 쓰이는 해외 곡물가격이 미국과 브라질의 기상악화로 인한 수급 차질 우려, 중국의 곡물 수입 증가로 인상되고 있으며, 여기에 유가 상승 및 해상운임료도 인상돼 사료업체들의 고충과 어려운 점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과연 사료가격을 1년에 두 차례나 이렇게 폭등시켜야 했는지는 의문스럽다.

축산물은 일반적인 공산품과 다르다. 생산비가 오른다고 해서 축산물 가격을 올릴 수 있는 결정권이 농가에게 없다. 이런 상황을 알고 있는 사료업체들이 아전인수(我田引水)격으로 자신들만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일방적으로 농가에게 피해를 전가하고 있는 행위는 대기업의 횡포이자 폭력이며 그릇된 행동이다.

농가없는 사료업체는 존재할 수 없다. 공존하기 위해선 서로 상생(相生)이 답이다. 상생의 정신을 저버리고 눈앞의 이익만을 위해 농가들의 뒷통수에 비수를 꽂는 행위로 농가들의 분노의 대상이 되질 않길 바란다. 또한, 정부도 뒷짐만 지고 지켜볼 것이 아니라 사료업체·생산자와 머리를 맞대고 사료안정기금 설치 등 농가들의 경영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