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과수화상병' 확산조짐...차단에 초긴장

- 과수화상병 발견시기 빠르고, 미발생 지역 신고도 증가
- 허태웅 농촌진흥청장, 과수화상병 예찰‧방제 추진상황 긴급점검
- "매몰 등 신속한 방제 추진‧조기예찰 통한 오염원 사전 제거" 강조

 

과수화상병 발견시기 빠르고, 미발생 지역 신고가 증가하는 등 질병확산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은 5월 27일 영농종합상황실에서 과수화상병 발생 증가에 따른 지역별 예찰‧방제 추진 상황을 점검하는 회의를 주재했다.

허태웅 청장은 각 도 농업기술원이 보고한 과수화상병 발생현황과 대응 상황을 살피며, 확진 시 매몰 등 신속한 방제 추진과 조기 예찰을 통해 오염원을 사전에 제거할 것을 강조했다.

 


5월 26일 기준, 전국 124농장(66.6헥타르)에서 과수화상병이 확진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6일 현재까지 확진된 124곳은 경기 31(평택 3, 남양주 1, 이천 1, 안성 26), 충북 72(충주 56,  제천 7, 음성 9), 충남 21(천안 20, 아산 1)개소이다.

올해 과수화상병 발생 경향은 지난해보다 증상 발견 시기가 빠르고, 기존 과수화상병 발생지역 인근의 미발생 지역에서 확진되거나 세균병 의심 신고가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다.
 
2020년 과수화상병이 첫 확진된 때는 각각 5월 18일(사과)과 5월 19일(배)이었으나 2021년은 4월 26일(배), 5월 7일(사과)이다.
 
현재 기준, 일일 가장 많은 확진이 나온 다(多)발생일의 경우 2020년은 5월 25일(33건)이었고 2021년은 5월 18일(11건)로 파악됐다.
또한 그동안 발생이 없었던 경기 남양주시 배 농장 1곳에서 확진(5.20.)되고, 강원도 영월, 충북 단양 지역 등에서 의심 신고가 들어와 현재(5.26.) 정밀진단 중이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발생 추이를 고려해 기존 과수화상병 발생지역과 주변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의심신고와 증상 발견이 되고, 6월 기상상황에 따라 발생 우려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과수농가에서 이뤄지고 있는 열매솎기와 열매 봉지 씌우기 등 농작업 시 작업자 및 작업도구 소독과 차단 방역 수칙 준수가 중요한 상황이다.
농촌진흥청은 이 같은 내용을 각 지방농촌진흥기관에 전달하여 농업현장에 신속히 전파할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농촌진흥청 관계관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대면회의로 진행했으며,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축산검역본부 담당관 및 도 농업기술원장, 발생 시‧군 농업기술센터 소장 등은 영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해 참여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