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축구장 1,455개 면적 산림 토석채취 허가

박완주 의원,“채석장 완전복구 어려워”“불법채석 등 철저히 감독해야”

산림청, 축구장 1,455개 면적 산림 토석채취 허가

박완주 의원,“채석장 완전복구 어려워”“불법채석 등 철저히 감독해야

2008 757 3,763ha 이었던 토석채취허가지난해 815, 4,825ha로 증가 

해마다 증가하는 토석채취로 산림 파괴가 우려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사진)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토석채취 허가 건수는 815건으로 면적은 4,825ha,채취실적은 269,148,000에 달한다.

 

이는 2008년과 비교해 허가건수는 58면적은 1,062ha, 실적은67,850,000가 증가한 수치다면적만 보면 축구장(0.73ha 기준) 1,455개 면적이 늘어난 셈이다.

 

산지에서 토석을 채취하려는 사람은 산지관리법 제 25조에 따라 시도지사나 시군구 단체장으로부터 토석채취허가를 받아야한다토석채취는 본래 산림청 소관이었지만 2010 5월 지방사무로 이관되었다지방사무로 이관 후 채취면적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0 3,939ha이었던 허가면적은 2011 4,858ha 919ha 증가해 지난 10년 중 가장 급격하게 상승했다. 

토석채취와 관련된 업무는 대부분 지자체가 담당하고 있다산림청은 토석채취허가와 관련된 법이나 민원에 대해서 답변하고 채석 및 복구상황을 점검하는 등 전반적으로 지자체를 관리 감독하고 있을 뿐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토석채취허가 현황을 살펴보면 허가 건수가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강원도다강원도는 허가 건수(123)에 비교해 채취실적은 5(22,659)로 다소 적은 편이다이에 반해 전남의 경우 허가 건수는 77건으로 상위 7위에 불과하지만 채취실적은 경남(57,115)의 뒤를 이어 2(40,617)를 기록하고 있다.

 

불법 채석도 증가하고 있다. 201353건이었던 불법 채석 건수는 2014년과 2015년 각각 63건으로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119건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올해는 8월 기준만 해도 69건에 달한다.

 

우리나라는 면적이 좁고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산림을 이용한 채석행위는 국가 산업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인식되어 왔다그러나 채석장의 경우 급경사의 잔벽을 남기게 되기 때문에 복구에는 특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완벽한 복구로 이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토석채취업체가 복구를 제때 이행하지 않아 지적 받은 건수도 적지 않다최근4년간 <산림청의 현장 점검 시 지적사항>을 살펴보면 총 533건의 지적사항 중 ‘중간 복구 불이행 ‘채취완료지 복구명령에 해당하는 지적사항이 99건으로 18.6%를 차지한다.

 

박완주 의원은 “산림청은 산림 보전의 의무가 있다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토석채취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현재 상황이 조금은 우려스럽다면서 “특히 불법채석도 증가하고 있는 만큼 토석채취에 대한 산림청의 보다 철저한 관리감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공사 국제농업협력 화제!... ‘캄보디아 채소 생산자립’ 씨앗 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캄보디아 몬둘끼리 지역에서 현지 시각 9일 ‘산지지역 고부가가치 채소 생산 및 가치사슬 개선 사업’ 준공식과‘산지채소연구소’ 개소식을 동시에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준공식에는 옹 코살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차관, 김원집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서기관, 농림축산식품부 유영숙 주무관, 김우상 한국농어촌공사 기반사업이사 등 양국 관계자 1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산지채소연구소 시설을 소개에 이어, 연구소를 캄보디아 측에 공식적으로 인계하는 서명식 순으로 진행됐다. 농식품부와 공사는 2010년부터‘쌀산업 일관 체계 구축사업’을 시작으로 캄보디아의 식량 주권 확립과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10개의 국제농업협력사업(ODA)을 진행해 온 바 있다. 이번 ‘산지 지역 고부가가치 채소 생산 및 가치사슬 개선 사업’은 캄보디아의 자체적인 농업 경영을 위한 이정표가 됐다. ◇ 채소 수입국에서 생산국으로...캄보디아의 자급전략 캄보디아는 채소 생산량이 국내 수요에 미치지 못해 상당량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캄보디아 정부는 자국 내 채소 생산량 확대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작물생산 농업 분야 발전 마스터플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경농, '노균병, 걱정 뚝'…시금치계의 ‘강철템’!
여름철 농작물 재배를 어렵게 하는 것은 각종 병해다.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병해는 작물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생산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내병성 품종을 고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농의 종자 전문 브랜드 동오시드의 여름 전용 시금치 ‘다크그린’과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특히 강해 수확량은 물론 재배 편의성도 크게 향상시킨다. 다크그린은 더위에 매우 강해 동오시드가 더운 여름철에 특히 강력 추천하는 시금치다. 극만추대성으로 노균병에 매우 강하며 토양 적응성이 좋고 내습성이 뛰어나 위조병 내병성도 지녔다. 또한 수확기에도 작물이 망가지기 않고 밭에서 잘 버티는 재포성도 훌륭하다. 엽색은 매우 진하고, 모양이 우수하다. 엽면이 잘 서있어 작업하기에도 용이한 품종이다.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매우 강한 품종이다. 잎의 색이 변하거나 시드는 등 노균병에 따른 피해 우려를 크게 줄인다. 또한 토양적응성이 좋고, 내습성도 훌륭해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재배안정성이 높다. 엽색이 매우 진하고 광택이 우수해 상품성이 뛰어나다. 내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수확 품종으로, 최고의 상품성을 보장한다. 동오시드 관계자는 “두 품종 모두 엽색 등 품질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