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김창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기술홍보실장

‘국민이 모르는 정책은 없는 정책이다’...올해는 청정과 공존에 홍보 방점

<기고>

김창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기술홍보실장

국민이 모르는 정책은 없는 정책이다’...올해는 청정과 공존에 홍보 방점

 

지난해에는 너무 과분한 상을 많이 받아 홍보 업무를 수행한 15년 중에 최고의 해로 기억된다.

현장에서 컨설팅이 주 업무였던 필자가 20002어느날 갑자기(?)’ 홍보업무를 맡아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과거 북제주군청에서 시행한 첫기고 왕에 선발되기도 했고, 2013년에 농업기술원 사상 처음으로 농촌진흥청 시행 농업진흥사업 홍보 우수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2번째 우수기관 선정에 이어 특별자치도청 부서 평가에서 홍보분야 대상을 처음으로 수상하는 영광을 안기도 했다.


올해 농업기술원 홍보 사업은 청정과 공존의 핵심가치로 홍보 극대화에 두고 추진할 계획이다.

필자는 홍보란 모든 사업의 시작과 끝이라 생각한다.

20135월 박대통령은 국민이 모르는 정책은 없는 정책이다.’라 말씀 한바 있다.

이 말은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국민에게 알려 참여를 유도하고 사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반드시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는 뜻이라 생각한다.

사업을 하다보면 모두가 좋은 성적을 올릴 수 만 없다. 잘못된 점은 무슨 이유에서 잘못된 것인지 곱씹고 거기에 따른 개선점을 반드시 찾아내어 두 번 다시 그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한다.사람은 칭찬만 듣고 자랄 수는 없다. 칭찬만 듣고 자란 사람은 온실 속에 꽃처럼 열악한 환경에서는 올곧게 잘라 수 없다.


사업 추진 과정에 주변으로부터 꾸중을 듣기도 하고, 불필요한 가지는 다듬어야 비로소 올곧게 자랄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상생(相生)이란 말을 좋아 하고 즐겨 쓴다. 상생의 사전적 뜻은 두 가지 또는 여럿이 서로 공존하면서 살아감을 비유 적으로 이르는 말로 정의 하고 있다.

그 반대말은 상극(相剋)이라 하겠다. 상생이 공존(共存)이라면 상극은 공멸(共滅)이다. 역학자들은 원숭이의 해인 2016년은 태양의 빛이 찬란하게 퍼져나간다는 병화신년의 해라고 한다.


올 한 해 농업기술원은 청정 제주의 농업가치를 도시민과 함께 상생과 공존의 가치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언론 홍보를 극대화 하여 제주가 제2 도약의 해가 될 수 있도록 미력하나마 최선을 다하겠다고 병화신년 새해에 다짐해본다. 감사합니다. 신주철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업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 5월 30일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위원장 장태평)는 5월 30일 14시, 서울LW컨벤션(서울역점)에서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자체 및 관련기관 담당자,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으며, 농산어촌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효성 있는 디자인 공모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어업위 농어촌분과위원인 서울대학교 손용훈 교수의 진행으로 농산어촌 디자인의 기본 개념과 필요성, 가이드라인, 우수 사례 등을 소개한다. 지자체가 이를 실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향후 공모전 참여와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산어촌 공간 조성을 유도할 예정이다. 이어, 2025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의 참여 절차와 심사 기준, 사례 적용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실질적인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공모전 신청접수는 6월 10일부터 7월 21일까지이며, 농산어촌다움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산어촌 디자인 우수사례 총 10점을 선발하여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상을 수여한다. 농어업위 장태평 위원장은 “농산어촌 디자인은 단순한 경관 개선을 넘어, 주민의 삶의 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