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가락시장 친환경 농산물 우수중도매인 어떻게 찾을까?

부류별 우수 중도매인 안내 간판 설치, 공사 홈페이지 게시하여 홍보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이병호)2015년도 가락시장 친환경 농산물 거래 우수 중도매인을 선정하고, 안내 점포 간판을 신규로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공사는 친환경 농산물 부류별 거래 실적 우수 중도매인을 선정하여 중도매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소비자들에게 안전성이 확보된 먹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2015년 부류별 중도매인 선정은 전체 10개 부류에 버섯류 73, 과일과채류 50, 과일류 20, 엽채류 13명 등 총 185명이 선정되었으며, 공사 홈페이지에 우수 중도매인 명단을 게시홍보하여 시장 이용객들이 쉽게 찾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수 중도매인 명단은 공사 홈페이지 "유통인 찾기"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아울러 친환경농산물 우수중도매인에게는 전문 취급 점포를 표시하는 안내 간판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안내 간판은 점포 내외부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부착하여 친환경 농산물 구매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사 친환경 농산물 관계자는 "2014년 친환경 농산물 거래가 저농약 농산물 인증 중단으로 거래 물량이 감소하였지만, 부류별 우수 중도매인들의 간판을 신규 제작하여 부착함으로서 중도매인의 자긍심 고취와 구매자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한편, 향후 친환경 거래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곽동신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오리협회 이창호 회장 “오리고기 원산지표시 유명무실... 허술한 표시 서둘러 고쳐야”
국내산 오리고기가 수입산 오리고기 때문에 갈수록 뒷전으로 밀리고 있어 오리고기 원산지 표시 강화가 절실해 지고 있다. 이창호 한국오리협회장은 “오리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오리 사육제한 축소 등 오리농가들의 환경과 방역이 시스템화된 맞춤형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이 절대 필요하다.”고 힘을 줘 밝혔다. 이어 이 회장은 “오리 농가들이 AI가 발생하게 되면 이동제한 명령에 따른 부화장 새끼오리와 종란 폐기보상 문제도 너무 허술한데, 이 문제 또한 서둘러 개선해야 하고 오리고기 원산지 표기 단속강화와 원산지표시 개선도 필요하다.”며 작심 발언을 했다. 현재 국내 오리업계는 지난 2003년도부터 국내에서 16번째 AI를 겪으면서 가금산업의 피해는 갈수록 가중되고 있으며, AI로 인한 누적 재정 피해액은 최소 2조원에서 3조원에 육발하고 있다는 하소연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에서는 AI 예방을 위한 각종 방역규제 강화와 오리농가 사육제한, 일제 입식 및 출하, 출하 후 휴지기간 14일 준수의무 부여 등으로 생산량 급감에 따른 피해 발생이 커지고 있다.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때 시행된 겨울철 오리농가 사육제한은 지금까지 8년째 시행 중이며 매년 오리농가 30%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