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장 “현장의 목소리로 산림분야 미래 기술 밝혀”

산림과학원, 2016년 연구과제 오는 20일까지 수요조사 실시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장 현장의 목소리로 산림분야 미래 기술 밝혀

산림과학원, 2016년 연구과제 오는 20일까지 수요조사 실시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2016년 수행할 일반연구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오는 20일까지 연구과제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수요조사는 전국 200여개 산림 관련 기관 및 단체는 물론 개인, 기업 등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이는 올해 초 취임한 국립산림과학원 남성현 원장의 늘 절실히 묻고 가까이 생각하고 실천하면서 현장 중심, 수요자 중심의 연구를 해야 한다는 기관경영방침에 따른 것이다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 및 임업분야의 현안 문제와 연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예산으로 매년 90여개의 일반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20여개 과제는 매년 새롭게 시작되고 있다. 올해는 모두 93개의 일반연구과제를 진행 중이다.

 

또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수요조사를 위해 2008년부터 현재까지 수행한 모든 일반연구과제 목록을 과학원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참여 방법이나 자료 문의는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02-961-2565)로 문의하면 된다. 산림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