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 가축질병 퇴치…전국 쥐잡기 캠페인 펼쳐

가축질병 매개체 쥐 차단을 통한 AI 확산방지 총력 경주

농협, 가축질병 퇴치전국 쥐잡기 캠페인 펼쳐

가축질병 매개체 쥐 차단을 통한 AI 확산방지 총력 경주

 

농협에서는 가축질병 매개체로 활동하는 쥐의 차단을 통해 AI 확산 방지에 기여코자 20141112월에 걸쳐 실시한 구서캠페인을 2015년에도 계속 추진한다.

쥐는 AI를 비롯한 주요 전염병의 전파 매개체로 작용하는데 주로 밤에 활동하면서 분변, 오줌, 타액, 혈액을 통해 병원체를 퍼뜨리거나 몸, 꼬리, 털에 바이러스, 세균 등을 묻혀 이동하면서 질병을 전파한다. 따라서 농장에서 쥐를 차단하지 않을 경우 AI등 전염병의 차단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설물 훼손과 사료를 먹어치우는 등의 경제적 피해도 발생할 수 있다.

 

구서캠페인을 통해 축산농가, 도축장, 사료공장, 가공장, 생축장 등 모든 축산사업장에는 홍보용 플래카드를, 축사에는 구서요령 리플릿을 부착하게 되며 현장 지도요원은 구서요령을 지도하고 구서제를 공급한다. 농협은 구서캠페인의 일환으로 '141112월에는 AI 발생지역인 전남·전북에 구서제 860kg454농가(농가별 2kg)에 지원하였으며 그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축사에 활동하는 쥐의 마릿수는 쥐가 활동하는 것으로 보일 경우 0400마리, 밤에 가끔 보이면 100500마리, 낮에 가끔 보이며 밤에 자주 보일 경우 4001,000마리, 낮에도 자주보일 경우 5,000마리 이상으로 추정하였다.

 

구서제를 공급하기 전 농가의 쥐 서식 마릿수는 5,000마리 이상인 농가가 177농가, 4001,000마리 119농가, 100500마리 63농가, 0400마리 95농가였다. 그러나 전국 일제 구서캠페인으로 구서제 공급 결과 전체 454농가 중 64%291농가에서 쥐를 퇴치하였다. 그 외 163농가에서도 쥐가 1,000마리 이하로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축산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