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경농, 친환경농법 생력화 내세운 ‘병해충 육묘부터 미리예방’

도열병 등 주요 벼 병해충·동시방제···친환경 생력화 제품

경농, 친환경농법 생력화 내세운 병해충 육묘부터 미리예방

도열병 등 주요 벼 병해충·동시방제···친환경 생력화 제품

 

이앙 전 모판에 미리 약제를 살포해 흰잎마름병·도열병·세균성벼알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은 물론 벼물바구미·멸구류·깔다구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병해충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육묘상 처리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농업인구의 지속적인 감소로 1인당 경작면적 증가, 인건비 인상, 여성농업인 비율 증가 등으로 농업인들의 어려움이 증가함에 따라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해주는 친환경 생력화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육묘상 처리제는 이에 따라 노령농업인 뿐만 아니라 여성농업인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농업을 노동집약형산업이 아닌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바꿔주는 미래형 작물보호제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육묘상 처리방법은 농약 유효성분의 유실을 최소화해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력절감으로 수익을 증대하고 더불어 환경까지 보호하는 육묘상처리제는 앞으로 농가경영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육묘상 처리제의 가장 큰 장점은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환경친화적이라는 점이다. 실제 육묘상처리제는 본답처리 방제에 비해 살포횟수와 사용량을 크게 줄여주기 때문에 농촌 일손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실제 본답 방제를 기준으로 벼물바구미, 저온성해충, 잎집무늬마름병, 도열병 방제를 위해 입제나 경엽처리제를 3회 이상 전 면적에 처리해야 하지만, 육묘상 처리방법을 이용할 경우 약 25상자(1,000기준)1~1.5봉의 육묘상 입제 1회 처리로 이러한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경농(대표이사 이병만)에서 개발한 명골퍼입제, ‘왕꿈입제, ‘만추 입제’, ‘삼국통일 입제’, ‘한칼 입제’, ‘파워스타 입제는 우렁이에 대한 안전성 시험을 통과해 친환경농법에도 매우 적합한 제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명골퍼 입제 : 수도주요병해충을 육묘상에서 간편하게 해결

명골퍼는 겨농 2015년 신제품으로서 육묘상 1회 처리로 수도주요 병해충을 간편하게 해결한다.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세균성벼알마름병, 흰잎마름병을 비롯하여 벼물바구미, 도열병까지 한 번에 방제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이다. 특히 강력한 침투이행성으로 세균성벼알마름병과 도열병에 오랫동안 약효가 유지된다.

 

왕꿈 입제 : 도열병은 기본, 흰잎마름병까지 확실하게 방제

왕꿈 입제는 육묘상 1회 처리로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흰잎마름병을 비롯하여 벼물바구미, 도열병까지 한 번에 방제할 수 있다. 특히 강력한 침투이행성으로 세균성벼알마름병과 도열병에 오랫동안 약효가 유지된다.

사용이 편리하고 이앙후 추가 약제살포를 줄일 수 있는 종합적 해충방제(IPM) 및 생력화 재배에 효과적이며 우렁이에 매우 안전해 친환경재배에도 적합하다.

 

만추 입제 : 흰잎마름병까지 확실하고 간편하게 해결

만추 입제는 육묘상 1회 처리로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세균성벼알마름병, 흰잎마름병을 비롯하여 벼물바구미, 도열병까지 한 번에 방제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제품이다. 특히 강력한 침투이행성으로 세균성벼알마름병과 도열병에 오랫동안 약효가 유지된다.

사용이 편리하고 이앙후 추가 약제살포를 줄일 수 있는 종합적 해충방제(IPM) 및 생력화 재배에 효과적이며 우렁이에 매우 안전해 친환경재배에도 적합하다.

 

삼국통일 입제 : 수도 3대 병해충을 손쉽게 방제

수도 3대 병해충(벼물바구미, 잎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을 이앙 당일 육묘상 1회 처리로 동시에 방제할 뿐만 아니라 흰잎마름병에도 효과를 발휘한다. 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해 이앙 3일전부터 이앙 당일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수확량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집무늬마름병 방제효과가 탁월하다.

 

한칼 입제 : 벼물바구미, 애멸구, 도열병 동시 방제

벼물바구미 성충은 새 볏잎을 먹고 유충은 뿌리를 갉아먹기 때문에 벼새끼치기가 안돼 줄기수가 모자라 피해를 가져온다. 이러한 벼물바구미에 대해 탁월한 약효를 나타내는 한칼 입제는 육묘상처리시 지속기간이 길어 벼물바구미의 성충에 대한 효과는 물론이고, 이후 발생하는 유충에까지 약효를 발휘한다. 또한 담수직파 재배에서 문제시되는 깔다구류 방제효과도 우수하다. 강력한 침투이행성으로 잎도열병의 치료와 예방에도 효과를 발휘하며,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뿐만 아니라 우렁이에 매우 안전하여 친환경재배에 적합한 제품이다.

 

파워스타 입제 : 저온성해충에 우수한 효과

파워스타 입제는 클로란트라닐리프롤이라는 신규물질로 만들어진 살충제로 벼물바구미를 비롯하여 깔다구류, 벼잎물가파리 등 각종 저온성해충과 혹명나방에 우수한 약효를 발휘하는 육묘상처리제이다. 또한 독특한 작용기작으로 해충의 섭식저해를 일으켜 작물을 보호한다. 환경을 비롯하여, 특히 잉어, 갑각류와 같은 수생생물에 안전한 제품이다. 농자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