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김우남 의원‧한농연 ‘가락시장 거래제 합동토론회’

2015년 2월 24일(화)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

김우남 의원한농연 가락시장 거래제 합동토론회

2015224()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

가락시장 거래제도의 합리적인 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

 

김우남 국회의원(제주시 을)과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김진필),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김성응)가 공동주최하는 가락시장 거래제도의 합리적인 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가 오는 224()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국내 최대 농산물 공영도매시장인 가락시장에 거래제도와 관련하여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이하 공사)는 시장도매인제를 도입하여 현재 운영중인 상장경매제와 함께 병행할 것이라는 방침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락시장은 전국 농산물의 기준가격을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어느 때 보다도 신중해야 하며, 제도의 장단점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합회에서는 224일 학계, 전문가, 출하자인 농업인을 초청하고 본 토론회 개최를 통해 시장도매인제에 대한 장단점을 꼼꼼히 살펴보고, 농산물 유통의 핵심축인 가락시장 거래제도에 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여 공영도매시장인 가락시장에 합리적인 제도를 모색하고자 한다. 유통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