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노루궁뎅이버섯’ 염증억제 효과 탁월

세포 실험으로 입증…신약개발까지 기대

노루궁뎅이버섯염증억제 효과 탁월

세포 실험으로 입증신약개발까지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노루궁뎅이버섯이 염증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세포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전 세계적으로 해마다 염증 질환 관련 환자가 늘면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면역력 향상과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노루궁뎅이버섯은 아미노산과 기타 영양소가 많아 만성 질환인 혈관 기능 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원료와 천연물 신약으로서의 개발 가치가 높다.

농촌진흥청은 세포(대식세포) 실험을 통해 노루궁뎅이버섯의 추출물과 단일 성분이 혈관세포 노화를 막는 효과를 확인했다. 실험에 앞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조사한 결과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안전한 수준이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항염증 활성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특허출원과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앞으로 동물 실험과 인체적용시험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인삼특작이용팀 노형준 연구사는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정부3.0의 핵심 과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이번 성과로 국내 버섯을 활용해 면역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고 고부가가치 천연물 신약 개발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라고 밝혔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