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수입 펫푸드 평균 가격, 국산의 3.5배

프리미엄급 제품과 고양이 간식의 폭발적 증가
펫푸드 안전 관리법 별도 제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펫푸드 소비 실태 및 제조 추진 방향 토론회’에서

수입 펫푸드(pet food, 반려동물 사료)의 평균 가격이 국산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와중이지만 올해도 국내 펫푸드 시장은 5% 이상의 성장이 예상됐다.

 

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한국펫사료협회가 한국사료협회 자료(배합사료 생산 및 원료 사용현황, 국산)와 관세청 통관자료(수입산)를 토대로 해 도소매업 유통단계에 따른 비용ㆍ이윤 등을 반영해 2016년 기준 국산과 수입산 펫푸드의 평균 가격을 비교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결과는 지난 3일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주관으로 서울 K 호텔에서 열린 ‘2020년도 펫푸드 소비 실태 및 제도 추진 방향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표됐다.

 수입 펫푸드의 ㎏당 가격은 평균 1만1,890원으로, 국산(3,440원)보다 3.5배 높았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국산이 65%로, 수입산(35%)보다 높았다. 연평균성장률도 국산(20%)이 수입산(13%)을 앞섰다.

 

김 회장은 “코로나19 장기화에도 국내 펫푸드 시장은 올해 5.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유로모니터 조사)”며 “프리미엄급 제품과 혁신적 고양이 간식의 폭발적 증가가 국내 펫푸드 시장의 최신 트렌드”라고 소개했다.

 

같은 사료라고 해도 소ㆍ돼지 등 가축이 먹는 사료와 개ㆍ고양이 등 반려동물이 먹는 사료(펫푸드)는 사료의 사용 목적부터 완전히 다르다. 가축 사료는 가축에서 얻은 축산물의 안전성과 사료효율ㆍ성장률 등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중시한다.

 

펫푸드는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을 때까지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기호ㆍ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람이 먹는 식품과 사용 목적이 사실상 같다고 볼 수 있다. 가축 사료와 펫푸드는 유통경로도 판이하다. 가축 사료는 축산 농가나 도매상 등 한정된 유통경로를 통해 판매된다. 

 

펫푸드는 일반 식품과 마찬가지로 마트ㆍ슈퍼마켓(일부는 펫샵ㆍ동물병원ㆍ온라인쇼핑을 통해서도 판매) 등 다양한 유통경로를 거쳐 직접 소비자에게 팔린다. 

이처럼 펫푸드의 유통경로가 다양하고 유통 과정에서 유해 물질 오염 등 사고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펫푸드 유통단계의 안전을 특별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날 토론회에서 제기됐다.

 

토론회에선 사료 안전을 규제하는 현행 사료관리법이 가축용ㆍ양어용ㆍ펫푸드용 사료에 관한 모든 규제를 담고 있어 사료의 사용 목적ㆍ유통경로ㆍ주요 소비자 등 성격이 다른 펫푸드에 대해선 법(펫푸드 관리법)을 따로 제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일본ㆍ중국은 펫푸드 안전과 관련된 별도 법을 갖고 있다. 미국ㆍEU(유럽연합)는 펫푸드를 사료가 아니라 식품으로 간주한다. 펫푸드의 안전성ㆍ표시 등을 식품에 준해 관리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