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쌀가공식품산업대전’ 온라인 전시관 오픈

쌀가공협회, 국·영·중문 3개국어 지원으로 국내외 판로확충 기대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회장 김문수)는 9월 15일부터 18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20 쌀가공식품산업대전’을 온라인 전시관으로 오픈하였다. 쌀가공식품산업대전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사)한국쌀가공식품협회가 주관하며 국내 최대 B2B 식품전시인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과 연계하여 개최한다.

 

국내 유일 쌀가공식품 종합전시회인 쌀가공식품산업대전은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쌀가공식품 개발을 유도하고 국내·외 바이어 유치를 통한 판로 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온라인 전시관은 쌀가공식품산업대전에 참가한 기업정보 및 제품 소개, 기업별 보도기사, 전시 소개 등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하였다.

 

특히 올해 온라인 전시관은 기존 국·영문 외에 중문 버전을 추가 오픈하여 해외 바이어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노력하였고, ‘참가업체 문의하기’ 기능을 넣어 참가가 어려운 해외 바이어 등이 온라인으로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쌀가공식품산업대전 전시 후에 생생한 현장의 모습을 온라인 전시관에서 볼 수 있으며 국내·외 바이어들이 쌀가공식품 정보를 연중 지속적으로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올해 쌀가공식품산업대전은 ‘RICE SHOW, Everyone, Everyday, Everywhere’을 슬로건으로 역대 최대인 61개 업체가 참가하며 다양한 우수제품 및 기술을 선보인다.

 

한국쌀가공식품협회 관계자는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 해외에서 참가하지 못하는 바이어 및 참관객도 이용할 수 있어 전시효과가 증대될 것이라 기대된다”고 하며 “쌀가공식품산업대전 온·오프라인 전시를 통해 국내 우수한 쌀가공식품을 지속적으로 소개하고 판로확충 및 수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