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협네트웍스-에너닷, 빅데이터 기술 활용 태양광발전소 디지털화

실시간 원격운영·발전손실 최소화·자산관리 효과 기대

농협네트웍스와 에너닷이 빅데이터 기반의 농촌 태양광발전소 자산관리 플랫폼을 도입한다. 에너닷이 개발한 플랫폼으로 농협네트웍스의 발전소 20MW 규모를 디지털화해 발전소의 이상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에너닷이 도입한 시스템은 빅데이터와 AI기술을 활용해 발전량 예측은 물론 즉각적인 대응으로 발전 손실을 최소화한다. 다수의 발전소의 인버터, 센서장치, 보호계전기 등 가동여부를 실시간 원격 관리하며, 유지보수 이력관리, 발전 현황 보고서 자동완성, 실시간 상태 알림 발송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향후 발전량 예측을 기반으로 정확한 발전소 예상 수익도 분석할 수 있다.

 

농협네트웍스 권남회 대표이사는 “통합관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농촌태양광발전사업에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농촌 자산의 효율적 활용과 농업인의 농외소득 증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앞으로도 농업·농촌·농협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협업은 NH농협이 발굴한 스타트업이 농업 분야에 필요한 디지털 솔루션을 개발하는 선순환 구조로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NH농협은행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NH디지털챌린지+’를 졸업한 에너닷이 농협과 본격적으로 시너지를 내기 때문이다.

 

에너닷은 지난해 농협은행과도 태양광발전시설 IoT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농업인을 위한 태양광발전시설 운영관리, 수익분석서비스 제공을 준비하고 있다.

 

 

에너닷 이동영 대표는 “농업지역 태양광 설치량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발전소 운영관리의 디지털 전환과 효율화가 필요한 시기”라며 "에너닷 통합관제시스템으로 발전소 운영의 안정성과 효율성 강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에너닷은 다양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에너지 산업의 혁신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진흥청,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