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입에 쏙 작은 사과 ‘루비에스’ 인기

고품질로 일본 품종 대체…지난해보다 물량 30여 톤 늘어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재배가 쉽고 맛과 품질이 뛰어난 국산 작은 사과 ‘루비에스’가 올해 100여 톤 이상 유통될 예정이라며 일본 품종을 대체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작은 사과는 9월 말쯤 익는 일본 품종 ‘알프스오토메’가 유일했다. 알프스오토메는 떨어짐 피해가 크고 수확 뒤 금세 푸석거리며 정상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반드시 열매솎기(적과)를 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이 2015년 개발한 루비에스는 무게는 60∼80g이고 크기는 탁구공보다 약간 큰 사과이다. 최근 1인 가구가 늘면서 도시락용, 컵 과일용 등으로 주목받는 품종이다. 익는 시기는 8월 말이며 당도 13.9브릭스, 산도 0.49%로 알프스오토메보다 더 달고 덜 시다.

 

또한 알프스오토메와 달리 낙과가 거의 없고, 상온에서 50일 이상 유통할 수 있을 만큼 저장성이 좋다. 열매를 솎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재배할 수 있어 일본 품종보다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다.

 

루비에스 명칭은 빨간 보석 루비(Ruby)와 스몰(Small)의 ‘S’를 합성한 작명으로, 빨간 보석처럼 예쁜 작은 사과라는 뜻이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76개 묘목 업체에 루비에스 품종 묘목 생산권을 양도했다. 기존 알프스오토메 묘목 생산 업체 대부분이 루비에스로 품종을 변경했고, 대과(큰 과실) 묘목 생산 업체도 생산량을 늘리는 추세다.

 

올해 루비에스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30톤가량 많은 약 1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기존 알프스오토메 재배 주산지였던 경북 봉화와 영천에서는 일본 품종을 대체해 루비에스 집단 재배 단지를 조성했고, 경기도 광주·양평·이천·청양·청도 등에서도 루비에스 생산 단지를 만들었다.

 

특히 올해 50톤 이상을 출하하는 영천지역은 작목반과 유통업체의 공동출하를 통한 가격 산정으로 농가 소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루비에스보다 조금 더 큰 중간 크기 품종 ‘황옥’과 ‘피크닉’은 각각 9월 중순과 하순에 출하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동혁 사과연구소장은 “기존 일본 품종 생산 농가는 루비에스로 품종을 교체하고 있고, 새로 작은 사과 재배를 시작한 이들도 루비에스를 선택하고 있다.”라며, “국산 사과가 일본 품종을 대체함으로써 우리나라 사과 산업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aT, 삼성웰스토리와 손잡고 베트남에 K-푸드 전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삼성웰스토리(사장 정해린)와 함께,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7월 18일부터 30일까지 한국산 닭고기를 활용한 ‘K-급식 체험 홍보 행사’를 개최했다. 삼성웰스토리는 베트남, 중국, 헝가리 3개국에서 해외 단체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급식 메뉴 개발 시 K-푸드를 적극 활용하는 운영 방식을 통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직영하는 마트 내 K-푸드 입점 품목을 꾸준히 늘려 K-푸드 수출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aT와 삼성웰스토리가 지난해 10월 국산 농식품 수출 다변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과 연계한 협력사업으로, 베트남 최대 수출 품목인 한국산 닭고기의 소비 저변과 수출 확대를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내 9개 사업장에서 총 3차례 진행됐으며, 한국 영계를 활용한 삼계탕, 옛날통닭 등 1만 8000식의 특식이 제공됐다. 특히 한국의 초복과 중복 시기에 맞춰 행사를 진행하며 ‘이열치열’로 더위를 이겨내는 한국식 식문화를 소개해 현지 반응을 이끌었다. 현장에서는 삼계탕 부재료를 비롯해 향후 공장 내 미니마트에 입점 예정인 다양한 K-푸드를 전시·시식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