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협, 한국형 젖소 정액의 국내 낙농환경 적응력 우수성 입증

한국형 젖소 정액의 경제수명과 유생산 유전능력이 수입정액보다 우수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는 한국형 정액으로 태어난 딸소가 수입정액으로 태어난 딸소에 비해 경제수명과 우유생산능력 개량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젖소 321,100두의 검정성적을 토대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1산부터 4산까지 각 산차별 구간별 생존율 분석을 통해 한국형과 수입정액의 경제수명을 비교하였고 우유생산량 개량정도는 어미소 대비 딸소의 우유생산량 증가 정도를 비교분석하여 산출하였다.

 

 

산차구간별 생존율의 경우 2산 후반 생존율이 한국형은 62%, 수입산은 56%, 3산 후반의 생존율은 한국형이 43%, 수입산이 37%, 4산 후반의 생존율도 한국형이 25%, 수입산이 20%로 모든 산차 구간에서 한국형의 경제수명이 수입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생산의 개량량은 엄마소의 유량대비 딸소의 유량 증가량으로 계산하여 비교분석한 것으로, 농협이 생산하는 한국형 정액은 각각 유량 234Kg, 유지방 12Kg, 유단백 9Kg의 증가량을 보인 반면, 수입정액의 개량량은 유량 161Kg, 유지방 8Kg, 유단백 8Kg으로 한국형이 수입정액에 비해 유량 73kg, 유지방 4Kg, 유단백 1Kg을 더 개량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 온난화와 각종 백신접종 등 현장의 낙농환경에 적응하고 최종 선발된 한국형 젖소씨수소에서 생산된 정액이 수입정액에 비해 국내 젖소 개량에 적합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우리나라는 젖소 개량의 국제 신뢰도 제고와 국가별 환경적응도를 반영한 객관적인 유전능력 평가를 위해 2011년부터 전 세계 젖소씨수소 15만두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유전능력평가(INTERBULL)에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형 정액이 상위 1%에 선발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김태환 축산경제대표이사는 “국내 여건에 적응한 한국형 젖소씨수소를 지속적으로 생산·선발하고 개량을 가속화하는 것은 낙농산업 발전과 종축 산업 선도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라며, “한국형 젖소 정액의 우수성을 검증한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형 정액 공급이 확대 되고 낙농농가 소득 향상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aT, 삼성웰스토리와 손잡고 베트남에 K-푸드 전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삼성웰스토리(사장 정해린)와 함께,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7월 18일부터 30일까지 한국산 닭고기를 활용한 ‘K-급식 체험 홍보 행사’를 개최했다. 삼성웰스토리는 베트남, 중국, 헝가리 3개국에서 해외 단체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급식 메뉴 개발 시 K-푸드를 적극 활용하는 운영 방식을 통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직영하는 마트 내 K-푸드 입점 품목을 꾸준히 늘려 K-푸드 수출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aT와 삼성웰스토리가 지난해 10월 국산 농식품 수출 다변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과 연계한 협력사업으로, 베트남 최대 수출 품목인 한국산 닭고기의 소비 저변과 수출 확대를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내 9개 사업장에서 총 3차례 진행됐으며, 한국 영계를 활용한 삼계탕, 옛날통닭 등 1만 8000식의 특식이 제공됐다. 특히 한국의 초복과 중복 시기에 맞춰 행사를 진행하며 ‘이열치열’로 더위를 이겨내는 한국식 식문화를 소개해 현지 반응을 이끌었다. 현장에서는 삼계탕 부재료를 비롯해 향후 공장 내 미니마트에 입점 예정인 다양한 K-푸드를 전시·시식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