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협, 한국형 젖소 정액의 국내 낙농환경 적응력 우수성 입증

한국형 젖소 정액의 경제수명과 유생산 유전능력이 수입정액보다 우수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는 한국형 정액으로 태어난 딸소가 수입정액으로 태어난 딸소에 비해 경제수명과 우유생산능력 개량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젖소 321,100두의 검정성적을 토대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1산부터 4산까지 각 산차별 구간별 생존율 분석을 통해 한국형과 수입정액의 경제수명을 비교하였고 우유생산량 개량정도는 어미소 대비 딸소의 우유생산량 증가 정도를 비교분석하여 산출하였다.

 

 

산차구간별 생존율의 경우 2산 후반 생존율이 한국형은 62%, 수입산은 56%, 3산 후반의 생존율은 한국형이 43%, 수입산이 37%, 4산 후반의 생존율도 한국형이 25%, 수입산이 20%로 모든 산차 구간에서 한국형의 경제수명이 수입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생산의 개량량은 엄마소의 유량대비 딸소의 유량 증가량으로 계산하여 비교분석한 것으로, 농협이 생산하는 한국형 정액은 각각 유량 234Kg, 유지방 12Kg, 유단백 9Kg의 증가량을 보인 반면, 수입정액의 개량량은 유량 161Kg, 유지방 8Kg, 유단백 8Kg으로 한국형이 수입정액에 비해 유량 73kg, 유지방 4Kg, 유단백 1Kg을 더 개량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 온난화와 각종 백신접종 등 현장의 낙농환경에 적응하고 최종 선발된 한국형 젖소씨수소에서 생산된 정액이 수입정액에 비해 국내 젖소 개량에 적합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우리나라는 젖소 개량의 국제 신뢰도 제고와 국가별 환경적응도를 반영한 객관적인 유전능력 평가를 위해 2011년부터 전 세계 젖소씨수소 15만두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유전능력평가(INTERBULL)에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형 정액이 상위 1%에 선발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김태환 축산경제대표이사는 “국내 여건에 적응한 한국형 젖소씨수소를 지속적으로 생산·선발하고 개량을 가속화하는 것은 낙농산업 발전과 종축 산업 선도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라며, “한국형 젖소 정액의 우수성을 검증한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형 정액 공급이 확대 되고 낙농농가 소득 향상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