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5∼6월 중 '우박피해' 예고...농작물 미리대비 피해 줄여야

농진청 "우박 피해 잦은 지역 과수농가 비가림 설치…밭작물은 부직포 씌우기"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봄철과 초여름 사이 대기 불안정으로 강한 비와 함께 우박이 내릴 가능성이 높아 과수와 밭작물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사전관리를 당부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5월 8일부터 9일까지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일부 지역에는 돌풍과 함께 천둥, 번개가 예상되고 있어 우박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지난 4월 17일∼18일과 5월 5일에 중부지방에 강한 비와 함께 우박이 떨어져 과수와 밭작물에서 일부 피해가 발생했다.

 

우리나라에서 연중 발생하는 우박의 50~60%는 5~6월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돌풍‧천둥·번개를 동반한 비 예보가 있을 경우 우박 발생이 잦은 지역은 농작물 피해 예방을 위한 사전 관리를 해야 한다.  

 

 

우박이 떨어지면 농작물에 물리적인 피해(열매 상처, 가지 부러짐, 잎사귀 찢김)가 발생하므로 우박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예방적 조치로 망 덮기 또는 비가림재배, 터널재배 등을 고려해야 한다.

 

과수농가는 구멍의 크기가 1.25mm인 한랭사(가림망)나 간격이 촘촘한 그물망을 쳐주고, 고추·배추 등 노지에 있는 밭작물을 재배할 경우 비닐이나 일반 부직포보다 얇은 일라이트 부직포를 활용하여 터널재배를 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우박 피해를 입었을 경우 피해 상황에 따라 열매솎기와 비료주기를 조정하여 생육을 회복시켜야 한다.

과수는 피해가 심한 열매를 따내어 나무의 세력(자람새)을 유지하고, 새순이 부러진 가지는 피해 부위 바로 아랫부분을 잘라 다시 새순이 돋아날 수 있도록 관리 한다.  

채소류는 제4종 복합비료를 잎에 뿌려주고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병해충 방제를 실시한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정충섭 과장은 “재배면적이 넓은 지역에서 우박 피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실행하기 어렵지만, 해마다 우박으로 피해를 입는 지역에서는 미리 대응책을 마련하고,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복구 실시로 피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