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고랭지 배추 생산량’ 미리 알 수 있는 길 열려

농촌진흥청, ‘배추 주산지 생육정보 시스템’ 운영으로 농가들 출하예측 도움될 듯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고랭지 배추의 생육상태와 생산량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배추 주산지 생육정보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폭염 등 잦은 이상기상으로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랭지 배추의 안정적인 생산을 도모하기 위해 운영된다.

 

여름 배추는 7∼8월 사이 30도(℃) 이상 기온이 지속되면 속썩음 증상과 병해충 피해로 수량이 크게 준다. 이 같은 수량 감소는 가격 폭등으로 이어져 시장 불안정성을 높인다. 실제 지난해 9월 배추 10kg당 가격은 14,440원으로 지난해 1월보다 5배 증가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2018년 농장의 기상자료를 활용해 배추 생육을 예측하는 생육모형(소프트웨어)을 개발했다. 이 결과를 고랭지 배추 주산지에 적용해 배추 생육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게 된 것이다.

 

배추 생육모형은 30m급 고해상도로 날씨를 예측해 지도에 나타내는 전자기후도 기술을 적용했다. 배추를 재배하는 동안 하루 단위 기상 상황에 따라 잎 수와 무게, 고온 피해율 등 작물 생장을 연속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고랭지 배추 주산지인 강원도 태백시 매봉산과 강원도 강릉시 안반덕 지역 농가에서는 ‘배추 주산지 생육정보 시스템’에 접속한 뒤, 주소와 재배 시기를 입력하면 자세한 배추 생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서형호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장은 “이번 시스템으로 고랭지 배추 재배 농가는 작물 생육상태를 점검하고 생장을 예측하는 등 보다 정밀한 재배관리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농장 단위 상세 농작물 생육정보 예측기술을 고도화하고 활용도를 높여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앞으로 강원도 평창 등 고랭지 배추 생육정보 제공 서비스 지역을 차례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