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올해 농업생산액 '50조 4,380억원'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올 농업생산액 50조 4,380억원...'농업전망대회' 여전히 관심 커
쌀·감자 생산액 증가로 곡물류 생산액 전년대비 1.3% 증가
마늘·양파 생산량 감소로 채소류 생산액 전년보다 3.7% 감소
축잠업 생산액 전년보다 0.7% 증가한 19조 8,660억 원
한육우 0.7%, 돼지 0.2%, 계란 3.8%, 오리 5.3% 증가
닭 생산액은 2.1% 감소될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월 22일 서울 잠실에서 농업전망보고대회를 개최하고, 이 자리에서 올해 2020년 농업생산액은 전년과 비슷한 50조 4,380억 원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또, 2019년 농업생산액은 전년보다 0.8% 증가한 50조 4,280억 원으로 추정치를 발표했다.

쌀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하고, 돼지·오리 가격 하락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0.3% 감소한다.

 

2020년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보다 0.4% 감소한 30조 5,72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쌀·감자 생산액 증가로 곡물류 생산액 전년 대비 1.3% 증가한 반면, 엽근채소(가을작형) 가격하락과 마늘·양파 생산량 감소로 채소류 생산액 전년보다 3.7% 감소한다.

2020년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19조 8,660억 원이며, 한육우 0.7%, 돼지 0.2%, 계란 3.8%, 오리 5.3% 증가하나, 닭 생산액은 2.1%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농가소득 이전소득 증가에 힘입어 4,500만 원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공익직불제 도입의 효과로 이전소득은 전년보다 15.2% 증가한 1,144만 원이며, 농업총수입은 증가해, 18년·19년산 쌀변동직불금 지급 효과 등으로 농업소득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1,295만 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전년보다 각각 2.9%, 1.9% 증가가 예상된다.

2020년 농업교역조건은 전년보다 소폭 악화될 전망이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투입재 가격 상승과 노임 및 임차료 상승하여 농업구입가격 전년보다 1.2% 상승이 예상된다.

투입재비 1.5%, 노임 2.8%, 임차료 1.1% 상승하나, 가축비 1.8% 하락할 전망이다.

채소·과실 가격 상승으로 농가판매가격은 전년보다 0.8% 상승이 예상된다.

채소는 4.5%, 과실 3.2% 상승하나, 곡물 0.6%, 축산물 2.2%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농가인구는 전년보다 감소하나, 농림어업 취업자수는 증가할 전망이다.

농가인구는 전년보다 1.5% 감소한 224만 명, 농가호수는 0.7% 감소한 100만 호가 예상된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 전년보다 0.7%p 증가한 46.2%로 고령화가 심화되고,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세 이어져 전년보다 1% 증가한 141만 명이 예상된다.

귀농·귀촌 등의 영향으로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에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전년보다 0.6% 감소하여 각각 158만 ha, 164만 ha가 전망된다.

농가인구당 경지면적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70.4a이다.

2020년 가축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육계·오리 증가로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1.0% 증가한 196백만 마리가 예상된다.

식품소비행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육류‧수입과일 소비 증가와 곡물‧채소류 감소가 전망된다.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수입과일과 육류 소비는 연평균 각각 1.5%, 0.7% 증가하는 반면, 곡물과 채소는 각각 0.9%, 0.4% 감소 될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전망분석을 내놨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