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매년 100명 넘게 사망하는데 … 연안 위험구역 5곳 중 1곳은 안전시설물 ‘전무’

최근 3년간 연안사고 발생 총 2,535건, 사망자는 무려 390명에 달해

 

연안해역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매년 100여명이 넘는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연안 위험구역으로 설정된 5곳 중 1곳에 안전시설물 설치가 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물 설치에 해양경찰청(이하 해경)과 지자체의 역할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해경으로부터 제출받은 ‘연안사고 발생현황’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3년간 총 2,535건의 연안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사망자는 무려 390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망사고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익수가 231명(59.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추락이 119명(30.5%), 표류와 원인미상 등 기타가 26명(6.7%), 고립이 14명(3.6%) 순이었다. 해경은 지자체와 해수청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연안해역 안전취약지에 대한 위험성 조사를 통해 전국 연안 1,086개소를 위험구역으로 지정하고 연안사고 발생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 위험구역 1,086개소 중 위험표지판, 위험알림판, 인명구조함 등 안전시설물이 단 한 개도 설치되어 있는 않은 위험구역이 총 217개소(19.9%)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경이 설정한 연안 위험구역 5개소 중 1개소에 안전시설물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해경은 연안 위험구역을 A급부터 C급으로 나누는데, A급의 경우 최근 3년간 5건 이상의 사고가 발생한 구역이며, B급의 경우 최근 3년간 3건 이상의 사고가 발생한 구역, C급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구역을 뜻한다.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217개소의 연안 위험구역 중에는 A급과 B급 등 이미 여러 차례 연안사고가 발생한 곳도 있었다. 안전시설물이 없는 위험구역 217개소 중 이미 사고가 발생했던 위험구역은 A급 14개소, B급 59개소 등 총 73개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급 위험구역도 144개소였다.

 

박완주 의원은 “매년 100여명 이상이 연안 해역에서의 사고로 목숨을 잃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 사고가 발생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최소한의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은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지적하면서 “안전시설물 설치와 같은 사고예방 활동에 해경과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환경관리원, 창립 10주년 기념식 성황리 개최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7월 2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 4층 기획전시장에서 ‘창립 1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지난 10년의 주요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축산환경의 비전을 제시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지난 2015년 5월, 친환경적인 가축 사육 환경 조성과 가축분뇨의 자원화 이용 촉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2020년 2월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공공성을 확보하였으며, 2021년 2월에는 축산환경 개선 전담기관으로 지정되며 업무 범위를 확대해 나갔다. 업무는 가축분뇨 자원화 및 악취저감 중심에서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 등 인식개선을 위한 농업인 교육, 현장 전문가 양성 및 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 통계 생산까지 다양하게 확대되었다. 이날 기념식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안용덕 축산정책관, 환경부 조희송 물환경정책관을 비롯해 공공기관, 관련 협회와 업체 등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해 관심과 격려의 뜻을 전했다. 기념식은 축산환경관리원의 홍보영상 상영을 시작으로, 축산환경 개선에 헌신한 유공자들에게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 3점과 환경부 장관 표창 2점이 수여되었고, 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