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농식품부 ’19년 예산기금 14조 6,480억원 국회 심의 중

예산특징 농업 후계인력 확보와 스마트 농업 확산, 농촌의 사회적 가치 향상에 중점

청년 후계 농업인 육성으로 농업·농촌에 활력을 더하고, 재해지원 확대와 농촌 생활여건 개선으로 농업인 삶의 질을 더하겠습니다

2019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예산 및 기금안 규모는 금년 대비 1,484억원 증액된 14조 6,480억원으로 편성돼 지난 8월 31일 국회에 제출돼 심의를 받고 있다. 농업․농촌 분야 13조 4,960억원, 식품․외식 분야 6,900억원 투자된다.

 

예산 특징은 농업 후계인력 확보와 스마트 농업 확산으로 농업에 혁신을 더하고, 재해 대응력 제고와 농업농촌의 사회적 가치 향상에 중점을 뒀다. 청년 영농정착지원 2천명 추가 선발(74억원→ 233), 농촌 유휴시설활용 창업지원(신규 45억원), 청년 농촌보금자리 조성(신규 64억원)과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359억원), 스마트축산 단지 2개소(53억원) 신규 조성을 한다.

 

재해보험 확대(+5품목, 2,521억원→ 2,993), 농업인안전보험 취약농가 지원 강화(보험료 50%→ 70, 595억원→ 712), 재해대책비 확대(765억원→ 843)도 한다.

푸드플랜 중심 로컬푸드 확산(12억원→ 65), 동물복지와 반려동물 공공서비스 제공(74억원→ 136), 사회적농업․환경보전 활동 지원(신규 28억원)한다.

 

영농창업 지원 위주에서 청년들의 농업농촌 유입과, 이들이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확보, 정착하는데 필요한 지원을 집중한다.

청년유입을 위해 농업 분야 취창업 희망 대학생을 대상으로 농업 분야 종사 조건 장학금을 신설(36억원), 후계농 유입을 촉진시킨다.

학기당 800명을 선발하고, 대학 등록금 전액과 학업장려금을 지급한다.

영농창업은 금년 영농정착지원 1,200명(추경포함 1,600명)에 더하여 2,000명을 신규 선발(74억원→ 233)하고, 자금․농지․기술 지원으로 창업 활성화한다.

 

농촌 유휴자원을 청년들의 일터로 조성하여 새로운 창업 모델을 확산하고,청년들이 살기 편한 주거공간 조성으로 농촌 정착 지원한다.

창업공간은 양곡창고 등 유휴시설 30개소를 리모델링하여 청년 등에 창업 공간으로 제공(신규 45억원), 농촌 활력 제고와 창업 활성화한다.

 

주거단지는 육아 나눔시설, 문화․여가 커뮤니티 시설이 갖춰진 주거단지 4개소를 조성(개소당 30호, 신규 64억원), 농촌 보금자리 제공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4개소, 신규 359억원)를 선도로 청년들의 스마트팜 창업붐을 조성하고, 기술혁신과 전후방산업 성장의 시너지 창출이다.

스마트팜 규모화와 함께 청년창업, 기술혁신, 판로개척 기능을 집약해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거점을 육성한다.

혁신밸리를 거점으로 ‘준비–창업–재도전’ 단계별 청년 창업 지원한다.

스마트팜 실증단지(145억원)를 통해 기자재, 바이오 등 실증연구와 제품화를 지원하고, 민관 공동 R&D 등으로 전후방 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킨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하나로마트에서도 ‘민생쿠폰’ 손쉽게 사용 가능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22일부터 농어촌지역 농협하나로마트 779개소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급 지역 내 연 매출 30억 원 이하 가맹점으로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어, 유사업종이 없는 면(面) 지역 하나로마트 121개소만 예외적으로 사용을 허용해 왔다. 행정안전부는 도서·산간 지역 등 소비쿠폰 사용처가 부족한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난 21일 쿠폰 사용이 가능한 하나로마트 확대를 결정하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하나로마트는 농협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는 “농어촌지역 실정을 반영한 행정안전부의 결정에 깊이 공감한다”며 “하나로마트 사용처 확대로 상권과 교통 인프라가 부족해 신선식품 구매 등에 불편을 겪었던 농어촌지역 주민들의 소비여건이 향상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농협경제지주는 사용처로 허용된 하나로마트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주요 생필품 특별 할인행사 실시 ▲관내 소상공인 상생 방안 마련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빠른 시일 내 추진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