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농기평, 농림축산식품 '리빙랩' 아이디어 공모

오경태 원장 "일상생활의 맞춤형 농식품 연구개발 아이디어 발굴에 초점 둬"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경태)에서는 일반 국민이 실생활에 필요한 농식품 연구개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농림축산식품 리빙랩(living lab.) 아이디어 공모를 진행 중이다.

리빙랩(living lab.)이란 우리말로 ‘생활의 실험실’이라는 뜻으로, 실제 생활 현장에서 최종 사용자인 일반 시민들이 연구개발 과정에 문제 개선 및 실증 주체로서 참여하는 개방형 사회혁신활동이다.

 

이번 아이디어 공모 주제는 농식품 분야에서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 또는 국민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연구개발 관련 모든 아이디어를 포함한다.

농식품 연구개발사업에 관심 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국민생각함 ‘2018 농림축산식품 리빙랩(living lab.) 아이디어 공모’ 게시글의 댓글로 작성하여 참여할 수 있다.

 

제출된 제안서 중 아이디어의 적절성, 효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우수한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람에게는 소정의 상금을 수여한다.

또한, 이번에 출품된 아이디어 중 일부는 2019년 농림축산식품 연구개발사업의 신규 지정공모과제로 공고하고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농기평 관계자는 “이번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기존의 기술 공급자 중심의 연구과제 제안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술의 수요자가 필요한 기술을 직접 제안하여 농식품 연구개발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하나로마트에서도 ‘민생쿠폰’ 손쉽게 사용 가능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22일부터 농어촌지역 농협하나로마트 779개소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급 지역 내 연 매출 30억 원 이하 가맹점으로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어, 유사업종이 없는 면(面) 지역 하나로마트 121개소만 예외적으로 사용을 허용해 왔다. 행정안전부는 도서·산간 지역 등 소비쿠폰 사용처가 부족한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난 21일 쿠폰 사용이 가능한 하나로마트 확대를 결정하였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하나로마트는 농협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는 “농어촌지역 실정을 반영한 행정안전부의 결정에 깊이 공감한다”며 “하나로마트 사용처 확대로 상권과 교통 인프라가 부족해 신선식품 구매 등에 불편을 겪었던 농어촌지역 주민들의 소비여건이 향상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농협경제지주는 사용처로 허용된 하나로마트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주요 생필품 특별 할인행사 실시 ▲관내 소상공인 상생 방안 마련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빠른 시일 내 추진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