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산환경관리원, ‘우분 고체연료 가스화모델 구축’ 기술세미나 개최

 - 우분 고체연료 가스화...새로운 에너지와 재생에너지 시대에 맞는 축산업의 역할 기대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지난 20일 관리원 대교육장에서 미래 자원으로서 가축분뇨의 역할과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을 주제로 정부, 연구기관, 생산자단체, 유통·소비 대기업 등 12개 기관 30여명의 전문가들과 '우분 고체연료 가스화(Gasification) 모델 거버넌스 구축' 기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기술세미나는 우분 기반의 가스화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정책개발-생산-유통-소비 및 경제적 가치 등 전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주요 내용으로 ▲축산분야 탄소중립과 가축분뇨 자원의 미래가치 ▲가축분 고체연료 대규모 사업 추진 ▲우분 가스화 테스트 분석결과 및 상업화 가능성 등 가스화기술 실증연구 발표 ▲청정수소 인증제 정책 방향 등 다양한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축산환경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연간 가축분뇨는 5,073만톤이 발생한다. 이때 우분의 81%인 약 1,778만톤이 퇴비로 만들어지고 있다. 현재 농경지 감소에 따른 퇴비 적체 문제는 축산업의 숙제이며, 퇴비 야적 등에 따른 수계 오염원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가스화기술은 가연분을 800℃ 내외의 온도 및 부족한 산소 조건의 연소로에서 반응시켜 합성가스로 전환하는 것으로 주로 일산화탄소(CO), 수소(H2) 등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가스는 에너지원으로 스팀·전기 등을 생산할 수 있으며, 고질화 기술을 통해 청정수소까지 생산이 가능하다. 


몇 년 전만 해도 바이오매스(초본계, 우드칩 등)를 원료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지만 최근 가축분뇨가 에너지로서 잠재적 가치가 부각되면서 우분기반 가스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축산환경관리원 문홍길 원장은 이번 기술세미나를 계기로 “가축분뇨를 활용한 다양한 에너지 자원 개발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산업화하는데 축산환경관리원이 앞장서서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기술세미나는 단발성이 아닌 가축분뇨가 미래 에너지 자원이 될 수 있도록 ▲공공부분은 R&D 및 정책개발 ▲생산자 그룹은 산업화 ▲유통·소비자 그룹은 시장 확대 등 역할을 정립하고, 향후 정례화하여 축산분야 탄소중립에 힘을 보태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들 발끈...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강력 반대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은 7월 16일(수) 14시부터 서울 용산구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반대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 미국 측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통상 당국이 상호관세 조정 협상 카드로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완화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농촌 현장의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산 농축산물의 5위 수입국으로 한-미 FTA 발효 후 사실상 농축산물 관세를 대부분 철폐하였으며, 그 결과 지난 15년간 대미 수입은 56.6%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세·비관세 장벽의 추가 해소 시 사실상 완전 개방에 가까워 국내 농업생산기반의 붕괴마저 우려된다. 특히 동식물 위생·검역 및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등 비관세 장벽 규제 완화는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는 사안으로 단순히 농업인만의 문제라 볼 수 없다. 이에 한농연중앙연합회 및 시·도연합회 임직원 40여명은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성 확보와 5천만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거리로 나서게 되었다. 한농연은 기자회견 개최 후 220만 농업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