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국산 '초화류' 품종육종 활성화 기대

동오시드, 국산 초화 육종자원 한농대 개발 초화 육종 자원·기술 노하우 이전받기로
한국농수산대학 ‘초화 품종 평가회’ 열어 국산초화 품종 우수성 확인

동오시드㈜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초화 품종의 국산화와 보급 확대를 위해 국산초화 육종 자원과 기술을 전격 이전받는다.
동오시드㈜(대표 이용진)와 한국농수산대학 송천영 교수 연구팀은 2일 경기도 이천의 동오시드 육종연구소에서 ‘국산초화 육종 자원 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동오시드㈜는 한국농수산대학이 개발한 초화류 6화종과 분화 국화, 아시아틱 백합 등 총 1,090 계통 기술을 전량 이전받고, 한국농수산대학 측은 앞으로 2년 간 국산초화 개발 기술과 육종 노하우 등을 전수할 예정이다.
이로써 동오시드㈜는 독자적인 초화류 육종 기술을 확보함과 동시에 품종 개발을 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됐다.

 


또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초화 품종개발로 안정적인 생산 공급체계를 확립하고 더 나아가 외국 종자 수입 및 독점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게 가능해졌다.

이 외에도 국내 종자의 원활한 공급으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기후 변화 대응 등 국내 환경 적응 식물을 보급함으로써 환경 개선에도 일조할 수 있게 됐다.
동오시드㈜와 한국농수산대학 송천영 교수 연구팀은 이날 자원 이전 협약을 시작으로 국산초화 종자육성과 상용화를 위해 공동 노력해 우리초화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동오시드㈜는 연구개발력과 채종기술력, 종자품질력을 앞세워 국산 초화종자의 육종연구를 활성화하고 우수한 국산초화 품종을 생산농가와 소비자들에게 적극 보급해 나가기로 했다.

동오시드㈜와 한국농수산대학이 공동 협력하여 상품화에 성공한 국산초화는 수입초화에 비해 화색이 다양하고 선명하며, 우리 기후에 적응력이 강해 가꾸기 쉽다. ‘국산초화 육종자원 이전 협약’ 체결 후 진행한 ‘국산초화 우수품종 평가회’에서는 참석한 업계 관계자 20여 명과 관련 전문가들의 호평이 이어졌다.

 


한국농수산대학 송천영 교수는 “‘국산화’란 국내 기후에 맞춰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화형과 화색으로 품종을 육성하는 것”이라며 “이번에 개발 완료한 국산초화 품종은 국내에서 내병성과 내서성 검증도 완료했기 때문에 당장 상품화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라고 설명했다.

동오시드㈜ 개발연구팀 석경현 팀장 역시 “초화의 경우 대부분 정원을 꾸미는 용도이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기온이 높은 날씨에도 잘 견뎌야 한다”며 “최근 며칠 간 비가 많이 내렸기 때문에 오늘 품종 평가회는 우리 초화의 환경 적응력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석 팀장은 또 “국산초화 품종은 한국농수산대학 송천영 교수님의 30년 연구개발의 결실”이라며 “동오시드㈜ 또한 ‘우리나라 정원은 우리 초화품종으로!’라는 슬로건이 실현되는 그날까지, 국산초화의 보급 확대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이기홍 한돈협회장 “위기의 한돈산업 극복 위해 앞장설 것"
(사)대한한돈협회(회장 이기홍)는 지난 11월 25일 서울 서초구 aT센터 5층 그랜드홀에서 ‘대한한돈협회 제20·21대 회장 및 제12·13대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이·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전일 충남 당진 등에서 발생한 ASF(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과 이에 따른 48시간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 발동으로 인해, ‘비상 방역 체제’ 속에서 치러졌다. 협회는 일반 회원 농가의 참석을 철저히 제한하고, 협회 임원과 외부 내빈만을 초청하여 행사를 축소 개최했다. ▶ 이기홍 신임 회장, “현장에서 답 찾는 협회 만들 것” 전국 9개 도협의회와 협회를 상징하는 협회기 전수식을 시작으로 이날 취임식이 시작됐다. 한돈산업의 화합과 발전을 상징하는 이 순간, 참석자들은 큰 박수로 새로운 출발을 축하했다. 이기홍 제21대 대한한돈협회장 및 제13대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은 경북 고령에서 '해지음 영농조합법인'을 운영 중이며, 대한한돈협회 고령지부장, 중앙회 부회장, 환경대책위원장, 한돈자조금 대의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 한돈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문가적 활동을 해온 이기홍 회장은 특히 한돈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한돈농가의 권익 향상을 위해 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기홍 한돈협회장 “위기의 한돈산업 극복 위해 앞장설 것"
(사)대한한돈협회(회장 이기홍)는 지난 11월 25일 서울 서초구 aT센터 5층 그랜드홀에서 ‘대한한돈협회 제20·21대 회장 및 제12·13대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이·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전일 충남 당진 등에서 발생한 ASF(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과 이에 따른 48시간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 발동으로 인해, ‘비상 방역 체제’ 속에서 치러졌다. 협회는 일반 회원 농가의 참석을 철저히 제한하고, 협회 임원과 외부 내빈만을 초청하여 행사를 축소 개최했다. ▶ 이기홍 신임 회장, “현장에서 답 찾는 협회 만들 것” 전국 9개 도협의회와 협회를 상징하는 협회기 전수식을 시작으로 이날 취임식이 시작됐다. 한돈산업의 화합과 발전을 상징하는 이 순간, 참석자들은 큰 박수로 새로운 출발을 축하했다. 이기홍 제21대 대한한돈협회장 및 제13대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은 경북 고령에서 '해지음 영농조합법인'을 운영 중이며, 대한한돈협회 고령지부장, 중앙회 부회장, 환경대책위원장, 한돈자조금 대의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 한돈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문가적 활동을 해온 이기홍 회장은 특히 한돈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한돈농가의 권익 향상을 위해 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