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맥류 붉은곰팡이병 예방, 수확 전‧후 관리 중요

- 5월 잦은 비로 확산 우려 높아…맑고 건조한 날 수확, 저온‧건조 환경서 보관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전북, 전남, 경남 지역의 주요 맥류(보리, 귀리, 밀 등) 재배지*에서 ‘붉은곰팡이병’ 발생이 전년 보다 증가함에 따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수확 전‧후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전북 전주‧익산‧군산‧김제‧부안, 전남 영암‧해남‧강진‧보성, 경남 사천‧고성‧진주‧의령‧합천(밀재배)‧밀양의 맥류 재배지를 조사한 결과, 병든 이삭률이 각각 5.6%, 3.4%, 10.5%로 나타났으며 이는 2020년 0.2%, 0.5%, 3.2%보다 높은 수치이다.

 


일반적으로 붉은곰팡이병은 4월 중‧하순 무렵 이삭이 나타나는 시기부터 이삭이 성숙하는 초기인 젖익음 때(유숙기) 사이에 2~3일 이상 연속강우로 온난‧다습한 날이 계속될 때 발병하기 쉬워 약제를 뿌려 병을 예방한다.
올해는 알곡이 여무는 5월 중순부터 비가 많이 내려 병 발생에 적합한 환경조건이 형성되면서 맥류 품질 저하에 따른 농가 손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6월 초순부터 맥류 수확이 본격화되므로 각 재배지에서는 예찰을 통해 병 발생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보리, 귀리는 수확 7일 전까지 안전사용기준에 적합한 약제가 있으므로 출수기(이삭이 패는 시기)와 개화기에 줬던 약제성분과 중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이 가능하다.

밀은 수확기가 가까워 안전사용기준에 적합한 약제가 없으므로 수확 전까지 배수로를 정비하여 재배지를 건조하게 유지 등의 경종적 방법으로 이삭, 낟알표면 등의 붉은곰팡이병 증식을 억제해야 한다.
맥류 수확은 반드시 맑고 건조한 날, 이삭이 잘 마른 것을 확인한 뒤 수확하고, 즉시 종실을 건조해야 한다.

 


건조한 종실은 감염된 알곡 등을 선별하고, 보관 시에는 실내온도 15℃, 상대습도는 65% 이하로 맞춰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여야 한다.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문중경 과장은 “붉은곰팡이균 증식은 15~25℃, 종자수분함량이 17% 이상에서 활발해지므로 반드시 수확 후 건조와 저온보관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충남 부여에서 밀을 재배하고 있는 농업인 김대남 씨는 “밀 수확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수확기까지 재배지 관리와 수확 후 관리에 신경 써서 고품질의 안전한 밀을 생산하겠다.”라고 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업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 5월 30일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위원장 장태평)는 5월 30일 14시, 서울LW컨벤션(서울역점)에서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자체 및 관련기관 담당자,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으며, 농산어촌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효성 있는 디자인 공모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어업위 농어촌분과위원인 서울대학교 손용훈 교수의 진행으로 농산어촌 디자인의 기본 개념과 필요성, 가이드라인, 우수 사례 등을 소개한다. 지자체가 이를 실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향후 공모전 참여와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산어촌 공간 조성을 유도할 예정이다. 이어, 2025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의 참여 절차와 심사 기준, 사례 적용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실질적인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공모전 신청접수는 6월 10일부터 7월 21일까지이며, 농산어촌다움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산어촌 디자인 우수사례 총 10점을 선발하여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상을 수여한다. 농어업위 장태평 위원장은 “농산어촌 디자인은 단순한 경관 개선을 넘어, 주민의 삶의 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