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아시아지역 이동성 병해충 ‘스마트 공중포집기’로 실시간 관측

- 베트남, 태국에 시범 설치… 아시아지역 네트워크 구축 기반 마련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기반 시설이 부족한 아시아지역의 병해충 예찰을 지원하고 비래해충의 국내 유입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이동식 스마트 공중포집기’를 베트남과 태국 현지에 시범 설치해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동성 해충인 멸구류는 돌발적으로 발생해 작물에 직접 피해를 주고 바이러스 병을 매개해 피해를 준다.
스마트 공중포집기는 실시간으로 날아오는 병해충의 상황을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비이다.

농촌진흥청은 2015년 이후 지금까지 서해안을 중심으로 국내 40곳의 시군 농업기술센터 예찰 답에 고정식 스마트 공중포집기를  설치해 이동성 병해충을 실시간 예찰하고, 그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시군 예찰 담당자에게 미리 알려 제때 방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동식 스마트 공중포집기는 고정식 포집기의 1/4 크기에 조립식이라 이동과 설치가 쉬워 기반 시설이 취약한 국내·외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을 50% 줄였고 해충 포집을 위한 흡입력은 높였으며, 2배 이상 화질 개선과 자동 인식을 위한 영상 분석 시스템 기술을 확보했다. 반면, 도입과 운영 관리 비용은 50% 줄였다.
이 공중포집기는 아시아지역 이동성 병해충에 대한 국가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과제를 통해 2017년 베트남 남부 쌀 재배지인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티엔장(Tiengiang)주에 설치됐고, 태국은 멸구류 피해가 가장 많은 중부 차이낫(Chainat)주에 2018년 설치됐다.

공중포집기 시범 운영 결과, 포집 영상의 원격 육안식별을 통해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비래 현황과 시기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2019년에는 포집 높이를 2m에서 10m로 높여 장거리 이동 멸구류를 관찰할 수 있도록 보완했다.

베트남과 태국에서 실시간 수집된 정보는 각 국의 멸구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내 멸구류 비래 실시간 감지 시스템과도 연계해 병해충 이동 경로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국가 간 공동대처로 실질적인 방제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김현란 과장은 “이러한 성과를 다른 아시아 국가와도 공유해 외국에서 날아오는 해충의 실시간 이동 경로를 감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지속해서 구축해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태국 현지에서 스마트 공중포집기를 운영하는 담당자 체렛 셔누(Chairat Channoo)씨는 “이동식 스마트 공중포집기 설치로 아시아지역을  이동해 날아오는 해충의 유입을 미리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라며, “앞으로 태국 내 거점지역에 추가로 설치돼 실질적인 점검이 가능해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