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내년도 낙농예산 확충, 정부 반대로 ‘물거품’

낙육협, “現 낙농상황에 대한 농식품부의 편협한 사고가 낳은 결과”

 

한국낙농육우협회에 따르면, 12월 2일(수) 국회 본회의에서 2021년도 예산안이 처리된 가운데, 내년도 낙농예산 증액안(원유수급조절사업·가공원료유지원사업)이 정부의 반대로 반영되지 못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한국낙농육우협회 이승호 회장은 “지난 10월 국회 국정감사부터 11월, 12월 국회 예산안 심의까지 낙농예산 증액을 위해 진력을 다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며 아쉬운 심정을 전했다.

   

또한 이승호 회장은 “FTA수입개방과 코로나19영향으로 낙농산업이 위기인데, 농식품부가 지금과 같이 원유수급문제를 항구적인 시각으로 보지 않고 낙농가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기며‘복지부동’한다면 낙농산업의 미래는 없다”며 분개하는 한편, “낙농위기를 직시하고 낙농예산 증액을 위해 힘써주신 여야(與野) 국회의원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낙농육우협회 관계자는 “국회 농해수위 및 예결위 예산안 심사과정에서 농식품부와 예산당국이 반대하면서 낙농예산 증액안이 끝내 반영되지 못했다”며 경위를 설명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특히 예산당국이 농식품부의 의견을 받아, 원유과잉의 주원인이 생산증가에 있으므로, 낙농예산 증액안에 대해 수용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국회에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라며,“결국 낙농예산 증액안이 미반영된 것은 現 낙농상황에 대한 농식품부의 편협한 사고가 낳은 결과다”라고 한탄했다. 박시경 kenews.co.kt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