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 수출 19% 큰폭 증가…2년새 100톤 돌파

한우자조금 “한우 수출국 다각화 통해 한식 한류 세계화 선도”

한우 수출 19% 큰폭 증가2년새 100톤 돌파

한우자조금 한우 수출국 다각화 통해 한식 한류 세계화 선도 

한우가 글로벌 프리미엄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식 한류의 새로운 열풍을 주도하고 있다. 2017년 국내 한우 수출량은 지난해보다 약19.16%증가한 약 57톤을 기록해 누적 수출 물량 100톤의 성과를 달성했다

2015 12월 홍콩으로 첫 수출된 한우 물량은 1톤 남짓. 2016년 약 47톤에 이어 지난해에는 약 57톤이 수출돼,홍콩 내 새로운 한류 바람을 일으키며 홍콩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한우 수출 성과의 가장 큰 원동력으로는 품질 우수성을 꼽을 수 있다.기존 고급 프리미엄 쇠고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일본 와큐와의 경쟁 구도에서 육질의 부드러움과 함께 한우 특유의 감칠맛이 홍콩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는 평가.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한류 열풍과 국내 수출업체들과 현지 유통바이어들의 현지 마케팅 노력도 한몫 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진행된 한우자조금의 수출 마케팅 지원 사업도 수출 확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홍콩 현지 내 한우 이미지 제고와 수출 활성화를 목적으로 진행된 수출 지원 사업은 국내 수출업체들의 물류비 지원을 비롯해 홍콩 현지 마케팅을 위한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과 현지 유통업체 및 소비자 대상의 현장 이벤트,주홍콩 한국영사관과 aT센터와의 협력을 통한 한우 이미지 홍보와 현지 유통 바이어 대상 국내 초청 한우산업 현장 투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지 밀착 마케팅 활동을 진행했다.뿐만 아니라 홍콩 현지 언론 대상의 홍보 활동과 현지어 기반의 SNS채널 운영 및 온라인 홍보 활동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우자조금 민경천 위원장은 지난해 수출량은 FMD,사드(THAAD)등의 대내외적 문제로 어려웠던 여건에서도 한우 특유의 뛰어난 맛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수출 물류비 지원 등 유통업체에 대한 직접 지원과 동시에,현지 소비들 대상의 생활 밀착형 마케팅 홍보 강화를 통해 홍콩 시장은 물론 중동,동남아 시장으로까지 한우 수출 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우의 유일한 수출국인 홍콩은 2014년 기준 1인당 약55.8KG의 소고기를 소비하며 세계 1인당 소고기 소비 순위 1위를 기록할 만큼 소고기 소비량이 높은 나라다. 이와 함께 동서양의 여러 문화가 교류하는 아시아 지역 미식 수도로,향후 한우 수출 확대를 위한 중요한 테스트 시장으로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