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줄기세포 분화효율 향상 및 발암 위험성 제거

검역본부,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및 실험동물 대체시험법 개발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줄기세포 분화효율 향상 및 발암 위험성 제거

검역본부,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및 실험동물 대체시험법 개발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농림축산검역본부(박봉균 본부장)는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합성물질인 YM155가 역분화 줄기세포의 간장세포 분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세포치료제로 개발 시 발암 위험성을 낮춘다는 결과를 저명한 국제학술지 ‘Stem Cell Research and Therapy’ 2017417일자에 논문 발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YM155가 역분화 줄기세포에서 간장세포로분화 과정에서 미분화된 줄기세포를 선별적으로 사멸시켜 기존 분화효율을 향상시키며, 간장세포 기능인 글리코겐의 저장과 알부민의 분비 및 간장에서 대표적인 약물대사효소인 사이토크롬 씨(cytochrome C)의 발현되었다.

특히, 알부민 분비의 경우 기존 방법에 비해 YM155 처치 시,분비량이 2배 가까이 향상되는 등 사람 초대세포에서 분비되는 양과 유사하여 실제 간장세포의 기능에 가깝게 재현되므로, 신약 후보물질의 독성을 스크리닝을 하는 유용한 세포시험 모델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또한, 실험동물에 YM155를 처리한 줄기세포와 줄기세포 분화세포는 기형종(teratoma)을 형성하지 않아서 줄기세포로 인한 종양형성이 억제됨이 확인되어 실험동물 대체 시험법 개발에 한걸음 진전되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