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 사육두수 '증가세' 송아지 입식수요 다소 '진정'

GS&J가 최근 발표한 한우동향...한우 사육두수 증가세, 송아지 입식수요 다소 주춤

한우 사육두수 '증가세' 송아지 입식수요 다소 '진정'

GS&J가 최근 발표한 한우동향...한우 사육두수 증가세, 송아지 입식수요 다소 주춤 

한우 총사육두수는 작년 12월에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되어 6월에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265만 두였다.

송아지 생산두수는 2분기에 0.2% 증가하였고. 가임암소 두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인공수정액 판매량도 증가세에 있어, 송아지 생산두수는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작년 619,082/kg에서 올 115,601원으로 급락하였으나, 7월에는 16,492원으로 약보합세를 보였고, 718일 미국 광우병 발생 후 727일부터 17천 원대로 상승하였다.

송아지 가격(67개월령 기준)은 작년 6386만원/두에서 올 1280만원으로 급락하였으나, 이후 입식 수요 증가로 6월에 351만원으로 급상승하였으며, 7월에는 345만원으로 전월 대비 1.7% 낮아졌다.

인공수정률 추세치는 올 677.7%로 번식의향은 높은 수준이나, 도매가격과 송아지가격 상승세가 완화되면서 과열 양상은 약간 진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암소 도축률 추세치는 작년 132.4%에서 올 6월에는 26.3%로 낮아져 암소 사육의향도 번식의향과 마찬가지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다가 약간 진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6월의 비육우 두당 소득은 148만원으로 호황이었던 작년의 소득 236만원보다 크게 낮아졌으나 평년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 송아지 입식 과열양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년 후 한우 실질도매가격이 현재보다 5% 상승하지 않으면 비육 경영이 적자를 보일 것으로 보여 송아지 입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광우병 발생으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호주산 수입은 작년과 같이 하반기에 ASG 발동 쿼터(2017164,046)에 걸릴 것으로 전망되므로, 하반기 쇠고기 수입량은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GS&J> 축산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