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축산환경관리원, 축산환경 다짐대회

논산시‧논산계룡축협‧축산농가 등 참여… 지속가능한 친환경축산 실현

축산환경관리원, 축산환경 다짐대회

논산시논산계룡축협축산농가 등 참여지속가능한 친환경축산 실현

 축산환경관리원(원장 장원경)831일 논산계룡축협 자연순환농업센터에서 축산환경을 개선하고 축산농가와 지역주민간의 신뢰를 회복하는 지속가능한 친환경축산 실현을 위한 축산환경 다짐대회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다짐대회는 축산냄새로 인한 지역주민과 축산농가와의 갈등을 해소하고, 축산농가의 자발적인 참여로 환경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축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추진한다.

 

축산환경 다짐대회는 축산농가와 축산환경관리원, 논산계룡축협을 비롯하여 논산시 등이 참여하여 축산환경의 긍정적인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선언하는 행사이다.

이번 다짐대회에서는 축산환경 다짐대회 결의문 선언, 자연순환농업센터 내 액비저장조 벽면에 그려진 벽화 관람 등의 시간을 가졌다.

 

특히, 액비저장조 벽화는 축산환경관리원의 축산환경 제1기 봉사단(전국 대학생 구성)이 여름방학 기간(8.2426까지)동안 완성한 벽화그리기 봉사활동이어서 그 의의가 크다고 본다.

관리원 장원경원장은 축산악취로 인한 민원은 지역 주민과 축산인과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번 다짐대회 및 봉사단 활동을 통해 축산농가 스스로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여 축산인과 지역주민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