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전국 양곡창고마다 쌀 재고 넘쳐 정부와 농협 ‘속앓이’

적정재고량 80만톤보다 50만톤이나 많아…제1회 쌀의 날 만들어 쌀소비 촉진시키기로

양곡창고마다 쌀 재고 넘쳐 속앓이

적정재고량 80만톤보다 50만톤이나 많아소비촉진차원 제1회 쌀의 날 만들어

농식품부·농협 주최 쌀의 날 행사

 

햅쌀 수확기를 코앞에 두고 쌀 재고량이 심각한 상태에 접어들고 있다.

국내 쌀 재고량은 현재 130만톤으로 적정 재고량 80만톤보다 50만톤을 훌쩍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풍작에다 의무적으로 수입하는 쌀까지 가세하고 있어 업친데 덮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식습관 변화로 1인당 연간 쌀 소비량까지 65.1kg으로 뚝 떨어져 양곡창고들이 그야말로 미어 터질 지경이다.

 

이 때문에 쌀소비를 늘리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기 위해 이번에 쌀의 날을 제정해 쌀 소비를 늘려나간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쌀 가공시장도 연간 41천억원에서 매년 시장을 늘려 오는 2018년까지 53천억원 시장으로 늘려나간다는 계획을 세워 두고 있지만 쌀 수급량을 맞추는데는 적지않은 속 앓이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와 농협중앙회(회장 최원병)는 최근 전통문화 체험공간이자 한식당인 한국의 집에서 ‘Have a Rice Day, 좋다 쌀밥이라는 주제로 제1회 쌀의 날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쌀의 날은 한자 쌀 미()八十八로 풀이, 쌀을 생산하려면 여든여덟(八十八)번의 수고로움이 필요하다는 것에서 착안하여 매년 818일로 지정되었으며, ‘에 대한 범국민 관심 환기와 소비촉진을 위한 기념행사이다.

 

이날 농협중앙회 이상욱 농업경제대표는 많은 국민들이 818일을 쌀의 날로 인식하고, 쌀밥을 챙겨 먹는 건강한 식습관이 널리 확산되어 쌀 소비 촉진과 국민건강 증진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양봉협회, 세계 꿀벌의 날!... 슬로베니아 한국대사관과 협약체결
한국양봉협회는 5월 20일, 서울 슬로베니아 대사관에서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와 한국양봉농협이 양봉 6차산업 혁신과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2년간 유효하며 이견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2년씩 그 효력이 연장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는 “양국의 양봉교류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또한 세계 꿀벌의 날이 슬로베니아에서 UN에 건의하여 지정된 만큼 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꿀벌의 날’이 정부 공식 기념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며 꿀벌의 날의 공식 기념일 지정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호 회장은 “슬로베니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선진양봉국가로 꿀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봉문화와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꿀벌 질병예방·관리 시스템은 우리가 배우고 도입해야할 중요 모델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양봉산업이 한단계 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라며, 업무협약에 대한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양국은 꿀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공동 홍보 활동도 함께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업무협약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