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귀농·귀촌

귀농·귀촌가구 5년 전보다 11배 증가

작년보다 약 37% 증가... 귀촌에 비해 귀농은 제자리 걸음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진안·무주·장수·임실)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귀농·귀촌 가구가 5년 전보다 약 11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귀농과 귀촌 가구는 전국적으로 기껏 4,067가구에 불과했으나 2014년에는 44,586명으로 11배나 증가했으며, 2013년에 비해서도 37% 정도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증가세가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로 201069가구에서 작년에는 11,096가구로 무려 160배나 증가했다. 다음으로 같은 기간 동안 제주도가 44가구에서 3,875가구로 88, 충청북도 272 가구에서 5,144가구로 19, 충청남도 324가구에서 2,558가구로 7.8, 전라북도가 611가구에서 4,285가구로 7배가 늘었다.

 

  귀촌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반면 귀농인구는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과 귀촌을 구분하여 조사하기 시작한 2012년 이래 귀촌인구는 15,788가구에서 110% 증가한 33,442가구였지만 귀농인구는 11,200 가구에서 11,144명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전입가구원수별로는 귀농과 귀촌 모두 1인 가구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2014년 기준으로 총 44,586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23,501가구로 52.7%를 차지했으며, 2인가구가 11,321가구로 25.3%였다. 눈에 띄는 것은 가구원수가 많은 가구의 귀농·귀촌의 증가율이 더 높았다는 것이다. 가구원수별 통계를 잡기 시작한 2013년 대비 2014년에는 1인 가구 및 2인 가구 각각 30%, 42.5% 증가한 반면 3인가구는 56%, 4인가구는 48.3%나 증가했다

 

  2014년에 귀농·귀촌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 11,096가구, 경북이 5,517가구, 충북 5,144가구 순이다

 

  귀농과 귀촌인구는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귀농·귀촌 지원 예산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대비 올해 예산은 이차보전예산과 지원예산을 모두 합해 354억 원으로 작년 356억 원에 비해 2억 원이 감소했다. 이자차액 보전사업 예산이 12억 원 증가한 반면 귀농·귀촌활성화지원 예산은 14억 원이 감소한 것이다.  

 

  박 의원은 사람이 돌아오는 농촌을 위해서는 귀농과 귀촌이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향후 귀농과 귀촌이 농업과 농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란 점을 고려할 때 귀농과 귀촌정책의 역량을 강화하고 예산을 획기적으로 증액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