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전국 305개 저수지 준설…주민들은 지속적인 준설 원해

한국농어촌공사, 강화 대산저수지 준설 현장…휴일도 잊은 채 공사 진행

이참에 물그릇 키워 다음 가뭄 대비해야죠

강화 대산저수지 준설 현장휴일도 잊은 채 공사 진행

전국 305개 저수지 준설주민들은 지속적인 준설 원해

 

강화군 송해면 숭뢰리에 위치한 대산저수지. 저수규모 127만톤으로 여의도 면적만한 인근 1500가구에 농업용수를 대는 송해면의 젖줄이다.

평소 같으면 농부나 낚시채를 든 강태공들이 보여야 할 이곳에 최근 들어 불도저와 포크레인, 덤프트럭 같은 중장비가 즐비하다. 축구장 40개만하다는 저수지는 이미 바닥을 드러낸지 오래. 불도저와 포크레인은 이 저수지 아닌 저수지 바닥의 흙을 쉴새없이 파 덤프트럭에 쏟아붓고 있다.

이 저수지에서 저희가 퍼내야 할 흙은 16000m³입니다. 포크레인 한 삽의 흙이 대략 1m³이니 16000번을 퍼담아야 목표치대로 준설하게 되는 셈입니다.”

준설을 책임진 한국농어촌공사 강화지사 이동재 현장감독의 설명이다. 이동재 감독은 준설은 물이 완전히 빠져야만 할 수 있다이번 기회에 대산저수지의 물그릇을 키워 다음 가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이번 준설공사 의미를 밝혔다.

 

대산저수지는 지난 1980년 준공 이래 인근 농가에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해왔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물이 줄더니 올 5월 말 급기야 바닥까지 드러냈다.

그간 10년에 한 번꼴로 물이 빠진 적은 있지만 올해처럼 완전히 바닥을 드러내기는 처음이라 마을주민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강화군 송해면 숭뢰리에 자리한 대산저수지와 인근 농토. 겨우 모내기는 했지만 한여름 성장을 위해서는 물이 시급한 실정이다.

 

숭뢰리 박시현 이장은 모내기철은 다가오는데 물은 부족하고, 저수지 안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고인 물을 10일 이상 퍼냈다며 그간의 고생담을 이야기했다. 이어 준설은 원한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닌데 가뭄 때문에 준설을 하게 됐으니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라고 애써 웃는 모습을 보였다.

20대에 가까운 중장비가 동시에 움직이니 공사 현장은 매우 시끄럽다. 그래도 주민들은 틈나는대로 공사현장에 찾아가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숭뢰리 토박이로 논농사 4500평을 짓는 전찬혁 할아버지(70)가 그렇다.

전 할아버지는 대산저수지가 있어 그동안 물 걱정 안하고 농사를 지었다겨우 모내기는 했는데 앞으로가 걱정이 돼 며칠전까지 해도 한숨만 나왔다고 답답했던 심정을 털어놨다.

이어 이제 준설하는 모습을 보니, 내가 기운이 다 난다. 저수량이 커진 만큼 이제 웬만한 가뭄도 버틸 수 있지 않겠냐며 흐믓한 표정을 지었다.

 

마을 토박이로 농부이기도 한 전찬혁 할아버지가 농어촌공사 및 공사업체 직원에게 준설에 대한 고마움과 함께 좀 더 시원하게 파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런 주민들의 마음을 헤아리기라도 한 듯 공사직원들도 더위에 구슬땀을 연신 닦아가며 준설에 매진하고 있다.

공사업체인 인송건설 임승준 소장은 하루 8시간 공사지만 오전 7시부터 나와 2시간을 더 일한다. 준설 초기에는 저녁 9시까지 하기도 했다직원들 모두 열흘 가까이 집에 못 간 채 휴일없이 일하고 있지만 마을 어르신들의 응원에 힘든 줄을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이왕 시작한 김에 주민들의 바람대로 더 시원하게 팠으면 하면 심정이다고 더 많은 준설에 대한 의욕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해 조춘행 한국농어촌공사 강화지사 부장은 이곳 뿐 아니라 강화 6곳 준설 현장에 가면 주민들로부터 이 참에 더 많이 준설해달라는 말을 듣는다예산 상 어쩔 수 없지만 농민들의 애타는 마음을 알기에 그럴 때마다 마음이 찡하다고 말했다.

이어 저수지가 잘 관리되도록 가뭄 때마다 체계적으로 준설할 수 있도록 매해 지속적인 (준설)지원이 필요한 것 같다고 현장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이번 대산저수지 공사 준설량은 16000m³. 포크레인으로 16000번을 퍼내야 한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올 가뭄기간 81억원을 들여 전국적으로 305개 저수지를 준설하고 있다. 이를 통해 80의 퇴적 토사를 제거하는 등 전국의 저수지 물그릇을 키워 다음 가뭄에 대비할 계획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달 21일 강화지역 저수지를 둘러보며 저수지가 말라 있을 때 준설하면 적은 비용으로 물그릇을 키울 수 있다며 장마전까지 시군 저수지 준설 지원 확대를 지시한 바 있다.

 

준설은 이번 주 거의 끝나고 이제 남은 것은 비가 오는 것. 다행히도 기상청에 따르면 7~8일 전국적으로 장마가 시작된다.

이번 비가 물그릇이 한층 커진 저수지에 한껏 저장돼 한여름 더위를 이겨낼 수 있기를 농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롯데 3세'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 병역의무 핫 이슈로 등장
최근 국회 국방위원회 병무청 국정감사(국감)에서 외국에서 살다가 우리 국민이되는 귀화자에게도 병역 의무를 부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롯데그룹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롯데 3세’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사진) 겸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을 둘러싼 병역·국적 이슈가 다시 부각되고 있어서다. 지난 20일 국회 국방위원회 병무청 등에 대한 국감에서 귀화자에 대한 병역 의무 부과가 병역 자원 부족 문제를 해소할 대책으로 언급됐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현역 입영 대상자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귀화자에게는 현역 복무 여부 선택권이 주어지는 것은 차별 아니냐”며 “너무 행정 편의적인 것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그는 “가고 싶다고 가고, 안가고 싶다고 안 가는 게 말이 되느냐”며 “현역 자원이 많으면 모르겠으나 없다면 쥐어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도 “입영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건 군권(軍權)을 가진 국가의 태도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주권 취득 3년 이상 지난 외국인에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부여한다”며 “선거권은 주는데 입영은 왜 안 되냐”고 질타했다. 이에 홍소영 병무청장은 “병역 의무 부과는 좀 더 고민해보겠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우유자조금, 국산 우유의 신선한 가치 확인...‘밀크&치즈 페스티벌’ 성료
국산 우유의 신선함과 품질 경쟁력을 시민이 직접 체험한 ‘2025 밀크&치즈 페스티벌’이 시민들의 높은 만족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와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 안병우)는 10월 25일(토)부터 26일(일)까지 경기 안양시 평촌중앙공원에서 행사를 개최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높은 만족 속에 진행되었다. 페스티벌 첫날은 화창한 가을 날씨로 축제의 분위기가 한껏 고조되었고, 둘째 날 오전 비가 내렸음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은 이어졌다. 뜨거운 참여 열기에 비까지 그치며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올해 행사는 ‘우유는 신선식품입니다’를 핵심 메시지로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마련해 국산 우유가 목장에서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에서 48시간 이내에 유통되는 신선식품임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각종 교육‧요리‧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산 우유는 곧 신선식품이라는 인식 확산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다. 현장에서는 국산 우유와 치즈를 직접 맛보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여러 체험 콘텐츠가 운영됐다. 국산 치즈 요리·시식 프로그램을 통해 맛의 즐거움을 전했고, 우유의 품질관리 체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