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식품 장바구니 패널 조사 빅데이터 정보 공개

농식품 소비 정보 누리집 ‘농사로’ 통해 매달 공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에 발맞춰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농식품 장바구니 패널조사 빅데이터를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농촌진흥청의 대표 누리집인 농사로(nongsaro.go.kr)’를 통해 소비자 패널 정보와 함께 소비자 패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와 식품 사고 등 긴급 현안을 수시로 분석한 내용도 매달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하는 자료는 200912월부터 201411월까지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 1,000명이 작성한 300만 건의 구매 정보다.

이 정보는 상품명, 구입액, 구입처, 구입 일자, 중량, 결재 수단, 이동 수단, 외식 등의 자료가 포함돼 있다. 이는 유통, 식품, 연구 기관에서 관련 새로운 상품 개발과 소비 성향 분석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2013년에 특허를 출원해 조세연구원에 특허를 실시했고, 2012년에는 통계청의 소비자 물가지수 조사와 관련된 구입처별 구입액 비중 자료를 제공했다.

농촌진흥청 정병우 농산업경영과장은 농업인 소득 증대와 국가 연구 개발에 활용하기 위해 구축해온 소비자 장바구니 빅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고 공유해 농산업의 활력을 도모하고, 유능한 서비스 정부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라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농업인, 식품 기업, 유통 기업 등의 새로운 상품 개발과 국민의 합리적인 소비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200912월부터 농식품 장바구니 패널 자료를 구축해왔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공사, ‘안전한국훈련'...재난 대응력 강화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10월 30일 전북 김제 청도 저수지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영산강홍수통제소,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등 14개 유관기관·단체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집중호우에 따른 저수지 제방 붕괴 우려 상황을 가정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로 집중호우 빈도와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극한 강우와 풍수해에 대비해 현장 대응체계와 기관 간 협업을 점검하고 대응력을 높이는 데 목적을 뒀다. 농림축산식품부와 공사가 합동으로 실시한 이번 훈련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고, 공사는 현장조치를 중심으로 대응태세를 점검했다. 훈련은 폭우와 산사태가 동시에 발생해 저수지 방류가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저수지 월류와 사면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한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해 진행했다. 상황 발생 직후 공사는 상황판단회의를 열어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주민 대피, 수위 조절, 응급 복구 등 단계별 대응조치를 신속히 수행했다. 산사태로 도로가 막힌 구간은 굴삭기를 투입해 토사를 제거했으며 한국전력공사와 협력해 훼손된 전신주를 복구하는 등 초동 조치를 병행했다. 또한 드론으로 현장 상황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