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가락시장 청과부류 거래물량 170만톤, 거래금액 3조 4,363억원

강서시장 청과부류 거래물량 46만톤, 거래금액 9,184억원
긴 장마, 태풍 영향으로 과일류·채소류 모두 거래물량 감소, 거래금액 증가
가락 도매법인 출하장려금 131.3억원, 거래금액 대비 0.4% 수준
서울청과·농협가락(공)·중앙청과·동화청과·한국청과 0.4%, 대아청과 0.5%
가락 도매법인 출하선도금 325.7억원, 거래금액 대비 1.1% 수준
적극적인 물량 유치 위해 도매법인 출하장려금·선도금 지급 비율 향상 필요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는 2020년 3분기(1~9월 누적) 가락·강서시장 청과부류 거래실적 및 출하장려금·출하선도금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20년 3분기 가락시장 청과부류 거래물량은 170만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2.9% 감소하였고, 거래금액은 3조 4,3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서시장 청과부류 거래물량은 46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하였고, 거래금액은 9,1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락·강서시장의 과일류·채소류는 긴 장마·태풍에 따른 작황 부진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거래물량이 감소한 반면, 거래금액은 증가하였다.

 

가락시장 도매시장법인의 거래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대아청과의 거래물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증가한 반면, 서울청과, 농협가락(공),   중앙청과, 동화청과, 한국청과의 거래물량은 감소하고 거래금액은 증가하였다. 상장예외품목은 전년 동기 대비 거래물량이 감소한 반면 거래금액은 증가하였다.

 

 

강서시장 도매시장법인의 거래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강서청과의 거래물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감소한 반면, 서부청과, 강서농협(공)의 거래물량은 감소하고 거래금액은 증가하였다.

상장예외품목은 전년 동기 대비 거래물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증가하였고, 시장도매인은 전년 동기 대비 거래물량이 감소하고 거래금액은 증가하였다.

 

가락시장 거래물량 상위 5개 품목은 양파(17.9만톤), 무(12.5만톤), 오이(9만톤), 배추(8.7만톤), 파(8.4만톤) 순이며, 거래금액 상위   5개 품목은 생고추(1,550억원), 오이(1,546억원), 양파(1,512억원), 토마토(1,469억원), 파(1,456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강서시장 거래물량 상위 5개 품목은 양파, 무, 수박, 바나나, 배추 순이고, 거래금액 상위 5개 품목은 딸기, 포도, 사과, 토마토, 참외 순으로 나타났다.

 

가락시장의 수입 농산물은 총 15만톤으로 전체 거래물량의 8.7% 수준으로 나타났고, 강서시장의 수입 농산물은 총 5만5천톤으로 전체 거래물량의 12% 수준으로 나타났다.

 

생산·출하자에 대한 물량 유치 노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출하장려금과 출하선도금 실적은 가락시장 도매시장법인이 서울특별시농수산물도매시장조례 기준과 상장예외품목거래 중도매인 및 강서 시장도매인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매시장법인의 출하장려금은 조례상 위탁수수료 수입의 15% 내 범위지만, 실제 지급 실적은 위탁수수료 대비 8.8%에 그쳐 중도매인에게 지급하는 판매 장려금 지급 실적(위탁수수료 대비 13.0%)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락시장 도매시장법인이 출하자에게 농산물 대금을 미리 지급하는 출하선도금은 거래금액 대비 1.1%에 그쳐 상장예외품목거래 중도매인 10.6%, 강서 시장도매인 8.3%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도매시장법인은 앞으로 생산·출하자에 대한 적극적인 물량 유치를 위해 출하장려금·출하선도금 지급 비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