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11월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 한우먹고 '황금송아지' 받자

한우고기 최고 46% 할인판매…한우 구매 인증 온라인 이벤트 풍성
천만원 상당 황금송아지, 김치냉장고 등 ‘억소리’ 나는 경품 듬뿍

 

한우로 하나되는 또하나의 명절,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을 맞이해 온 국민이 한우를 저렴하게 즐기고 경품도 받을 수 있는 한우고기 축제가 진행된다.

전국한우협회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11월 1일 한우먹는날을 추석과 설명절 사이 하나의 민족명절로 승화시키기 위해 국민과 함께하는 이벤트와 한우고기 할인행사를 집중하고 있다.

 

올해 ‘11월 1일 대한민국 한우먹는날’은 코로나19 등 방역상황을 고려해 올해는 온라인 이벤트로 준비됐다. 한우홍보대사인 배우 남궁민의 영상축전에 이어 골프여제 박세리와 김홍길 전국한우협회장, 민경천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의 한우 토크콘서트가 열린다.

 

국가대표 골프감독 박세리와 함께하는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 개막영상은 11월 1일 11시에 유튜브에 업로드될 계획이다.

 

 

행사 전인 10월 29일부터 한우고기를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전국 대형마트 및 농축협매장, 한우영농조합 및 온라인 몰 등에서 한우 정육 및 구이 등을 최고 46%까지 할인판매한다.

 

국민과 함께하는 한우구매 인증 온라인 이벤트는 11월 1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다. 전국 모든 매장에서 한우를 구매한 영수증과 사진을 이벤트페이지에 응모하면 추첨을 통해 총 1,101명에게 황금송아지(111g, 1명), 의류관리기(2명), 김치냉장고(3명), 태블릿PC, 한우세트 등의 경품을 지급한다.

 

SNS를 활용한 한우 플렉스 이벤트도 진행된다. 같은 기간내 인스타그램에 ‘#11월1일 #한우FLEX #2020대한민국이_한우먹는날’등 3개의 해시태그를 포함한 게시물을 올리면 된다.

 

또한, 11월 2일부터 30일까지 한달간 제로페이에서 한우사랑상품권이 모바일 형태로 발행돼 한우를 더욱 저렴하게 즐길 수 있다.

 

모바일 한우사랑상품권은 제로페이에서 20% 할인된 금액에 판매한다. 한우사람상품권은 우리한우판매점에서 한우를 구입하거나 식사권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이 가능한 매장 정보는 ‘한우유명한곳’ 사이트에서 알 수 있다.

 

 

한우고기 할인행사 매장 및 기간, 할인율, 이벤트 응모방법과 당첨자 발표 등 자세한 사항은 이벤트페이지를 접속하거나 전국한우협회 또는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홍길 전국한우협회장은 “한우는 우리나라 역사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농업의 기둥이자 문화유산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더욱 큰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며 “11월 1일 한우먹는날 만큼은 온 국민이 한우를 부담 없이 맛보고 소비자와 한우농가 모두에게 즐겁고 행복한 날이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우데이로도 불리는 한우로 하나되는 또하나의 명절, 11월 1일 대한민국 한우먹는날은 지난 2008년에 선포되어 올해 13회째를 맞았다.

 

한해 농사를 마무리한 한우농가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한우를 사랑해 주는 국민에게 보답하기 위한 날이다. 11월 1일은 한민족의 전통사상인 천지인(天地人)을 모티브로 최고를 뜻하는 1이 3번 겹치는 날이라는 의미로 지정됐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