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식품제조업 ‘국산 원재료 사용률’ 5년째 31% 머물러

국산 원재료 사용량 2014년 대비 2019년 14.3% 증가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성장에 따라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였지만 국산 원재료 사용률은 31.3%~31.5%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병)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내산 비중은 2014년 31.3%, 2015년 31.5%, 2016년 31.4%, 2017년 31.4%, 2018년 31.3%에 머물고 있다.

 

 

2018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중분류 기준)

(단위 : 톤, %)

중분류

전체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비중

곡류 및 곡분

6,432,726

467,534

7.3

두류 및 서류(주정포함)

2,466,730

240,332

9.7

엽근채류

904,850

884,198

97.7

양념채소류

280,819

186,128

66.3

특용작물

47,113

20,848

44.3

과일채소류 및 과일채소류 유래식품 소재

373,485

283,189

75.8

축산물 및 축산물 유래식품

921,549

714,921

77.6

우유 및 유가공품

2,281,536

2,160,697

94.7

전분류

247,106

16,315

6.6

당류

2,591,727

91,557

3.5

식용유지류

393,604

6,225

1.6

커피 및 커피류 식품 소재

92,416

0

0

코코아 가공품류

24,096

0

0

식초류

12,208

6,916

56.7

기타

41,630

27,877

67.0

(자료출처 :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자료)

 

2018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중분류별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국산 원료 사용비중이 90% 이상인 품목은 엽근채류, 우유 및 유가공품, 김, 인삼, 홍삼, 계란 등 23개 품목으로 이들의 국산 원료 사용량은 375만 톤이며 전체 국산사용량 560만 톤의 6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산 원료 사용비중 20% 이하 품목은 원당, 소맥분, 옥수수, 타피오카, 주정, 대두, 백설탕, 포도당류 등 46개 품목으로 조사됐다. 특히 커피 및 커피류 식품 소재, 코코아 가공품류는 국산원료 사용 비중이 0% 였다.

 

<표-1>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

(단위: 만톤, %)

구 분

전체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량

국내산 비중

2014

1,565.2

489.3

31.3

2015

1,634.0

515.3

31.5

2016

1,651.2

518.9

31.4

2017

1,715.1

538.2

31.4

2018

1,787.1

559.8

31.3

(자료출처 :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자료)

 

한편 식품산업의 성장으로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2014년 489만톤, 2015년 515만톤, 2016년 519만톤, 2017년 538만톤, 2019년 559만톤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고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2014년에 비해 2019년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영진의원은 “식품산업의 성장에 따라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였지만 국산원재료 사용률은 31.3% ~ 31.5%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국산농산물의 식품산업 원재료 사용량의 증가는 국내 농업 발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식품산업계의 수요에 맞춘 다양한 식품산업‧외식산업‧급식산업의 원료가공기술 및 안정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식품 원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계약 재배 확대, 식품 가공용 품종 개발 및 보급 확대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영진의원은 “식품제조가공업의 원재료 사용률뿐만 아니라 로컬푸드 등 다양성과 신선도를 강조한 외식산업계의 원재료로 사용 확대를 지원하고 외식산업용 재료로의 가공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고품질 식품개발을 위한 원재료의 다양화, 가공기술의 표화 기술 수준 고도화, 농축수산물 반가공 소재화 지원을 강화하는 등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