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난(蘭) 바이러스‘ 감염 진단 도구 전국 보급

‘난(蘭) 바이러스’ 이제 현장서 바로 진단
진단 도구 25일부터 전국 보급…2분 안에 감염 여부 확인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난과(蘭科) 식물에서 나타나는 2종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는 진단 도구(키트)를 개발하고 전국에 보급한다.

 

난윤문바이러스(ORSV)와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CymMV)는 난 재배 농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로, 품종에 따라 70~80%가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지만 그간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다.

 

난윤문바이러스에 감염된 난은 초기에는 의심 증상이 없다가 점차 잎에 괴사 반점을 동반한 잎 뒤틀림 증상이 나타난다.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는 난윤문바이러스와 복합 감염 형태로 나타나는데, 감염되면 잎이 누렇게(황화 증상) 되면서 잎맥색이 다른 부분보다 뚜렷해져 띠를 두른 것처럼 보인다.

 

이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병이 진전될수록 증상이 뚜렷해지고 꽃과 꽃대에도 괴사 증상이 나타나 상품성이 떨어진다.

이번 진단 도구를 활용하면 현장에서 난윤문바이러스와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2분 안에 확인할 수 있다.

 

심비디움, 호접란, 덴드로비움, 온시디움 같은 서양란과 동양란(춘란) 대부분의 품종에 활용할 수 있다.

의심 증상이 보이는 잎(길이 1∼2cm)을 완충액과 으깨어 즙을 낸 다음, 진단 도구에 3∼4방울 떨어뜨린다. 즙액이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며 2분 뒤 나타나는 반응으로 결과를 판독한다. 두 줄이 나타나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난 바이러스 진단 도구 325점을 전국 도 농업기술원과 특·광역시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보급한다.

농가에서는 10월 이후부터 지역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바이러스 진단을 받으면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최병렬 원예특작환경과장은 “채소 바이러스 진단 도구를 보급한 적은 있지만 화훼 진단 도구 보급은 이번이 처음이다.”라며, “채소와 마찬가지로 난 또한 바이러스를 조기 진단해 감염주를 제거하면 바이러스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