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샤인머스켓’ 비켜! 고당도 포도 ‘스텔라’ 개발

포도알 달걀 모양,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장점… 묘목 보급 중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모양과 향이 독특한 고당도 포도 ‘스텔라’를 개발하고 품종 보급에 나선다. 스텔라는 맛과 간편성 등을 중시하는 최근 포도 소비 경향을 반영해 만든 품종이다.

 

포도알 모양이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것 같은 모양으로 독특하고, 당도는 18.5브릭스로 청포도 ‘샤인머스켓’과 비슷하다. 다른 품종보다 산 함량이 약간 높아 새콤달콤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유기산 중 시키믹산(shikimic acid) 함량이 높아 체리 ‘좌등금’ 품종과 비슷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익는 시기는 9월 초이고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재배할 때는 꽃 피기 전 새 가지의 생장이 빠른 경우 꽃봉오리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나무 자람새 조절에 신경 써야 한다. 나무 사이 간격을 어린나무는 3∼5m, 다 자란 나무는 7∼10m로 넓게 하는 것이 좋다.

 

농촌진흥청은 스텔라 보급을 위해 현재 경기, 충남, 전북 지역에서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고 10개 업체를 통해 묘목을 판매하고 있다. 보급 문의는 과수과로 하면 된다. 아울러 재배 농업인, 유통 관계자, 소비자와 스텔라의 과실 특성과 재배 유의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비대면 평가회(유튜브, 네이버 밴드)를 통해 영상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박정관 과수과장은 “요즘 젊은 소비자들은 맛과 향, 모양이 독특한 과일에 지갑을 열고 있다.”라며, “스텔라의 독특한 향과 모양은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소비 경향과도 잘 맞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과수협회,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워크숍' 개최
(사)한국과수협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으로 자유무역협정(FTA)과 이상기후 변화로 국산 과실의 소비량 급감과 수급 불안에 따른 가격 급등락, 수입 과실과 경쟁력 약화에 대비를 위한 컨설팅과 현장지원단을 운영하여 전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단감 농가의 기술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한 사업을 다년간 진행해 왔다. 지난 8월6일 충북농업기술원에서 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와 공동 주최로 사과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사과 다축형 평면 수형 모델 주요 특성 및 발전 방향(강원도원 정햇님 박사), 사과 병해충 방제 기술(전 (사)한국과수협회 임명순 명예회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육성 신품종 사과 소개(국립원예특작과학원 권다경 박사)를 했다. 또, 사과 과원 토양·비료·물관리((사)한국과수협회 신건철 회장), 기후변화에 따른 사과 재배 대응 방안(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 최효열 기술고문), 사과생리 장해(원예산업발전연구소 문병우 소장)의 발표로 전국에서 250여명의 농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행사를 마친 바 있다. 또한, 8월 13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포도 재배 관리 요령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과수협회,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워크숍' 개최
(사)한국과수협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으로 자유무역협정(FTA)과 이상기후 변화로 국산 과실의 소비량 급감과 수급 불안에 따른 가격 급등락, 수입 과실과 경쟁력 약화에 대비를 위한 컨설팅과 현장지원단을 운영하여 전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단감 농가의 기술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한 사업을 다년간 진행해 왔다. 지난 8월6일 충북농업기술원에서 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와 공동 주최로 사과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사과 다축형 평면 수형 모델 주요 특성 및 발전 방향(강원도원 정햇님 박사), 사과 병해충 방제 기술(전 (사)한국과수협회 임명순 명예회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육성 신품종 사과 소개(국립원예특작과학원 권다경 박사)를 했다. 또, 사과 과원 토양·비료·물관리((사)한국과수협회 신건철 회장), 기후변화에 따른 사과 재배 대응 방안(다축형재배기술교류회 최효열 기술고문), 사과생리 장해(원예산업발전연구소 문병우 소장)의 발표로 전국에서 250여명의 농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행사를 마친 바 있다. 또한, 8월 13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FTA·기후변화 대응 포도 분야 워크숍을 개최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포도 재배 관리 요령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