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자재·농업환경 국제 숙련도 ‘우수 분석기관’ 인증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고품질 분석서비스로 안전 농산물 생산 기반구축에 앞장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미국환경자원협회(ERA)와 영국 식품환경청(FERA)에서 주관하는 ‘국제숙련도 평가’에서 우수 분석기관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재단 농자재분석팀은 지난 3월부터 현재까지 농약·미생물·토양·수질 분야의 국제 비교숙련도 평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농약, 유해 미생물, 중금속 등 총 29개 항목에서 우수 판정을 받았다.

이번 평가는 국제표준화 기구(ISO/IEC)와 국제실험실인증협력기구(ILAC)가 인정한 미국환경자원학회(ERA, Environmental Resource Associate)와 영국 식품환경청(FERA)의 국제 숙련도 프로그램(FEPAS, Food Examination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을 통해 진행되었다.

 

ERA 숙련도 평가에서 농약류 4개 항목(Aldrin, Dieldrin, gamma-BHC, Heptachlor)과 토양·수질에 함유된 무기성분 및 유해중금속 23개 항목(납, 수은, 비소, 아연 등)을 국제표준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Z-score ± 2 이내로 ‘만족(Satisfactory)’ 판정을 받았다.

FEPAS 미생물분야 국제 숙련도에서는 고위험성 식중독균인 살모넬라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분석에 참여해, 6년 연속 세계 최고 수준의 미생물 분석능력을 입증하였다.

 

재단은 이번 국제 숙련도 평가에서 농약, 미생물, 토양·수질 환경 분석에서 우수분석기관으로 인정받아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 구축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재단은 비료·농약시험연구기관, 유기농업자재시험연구기관 등 국가공인 분석기관으로서 농업분야 분석역량 강화를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국제숙련도 프로그램에 참가해왔다.

 

앞으로도 숙련도 참여 분야와 항목을 점차 확대하여 고품질 분석서비스 제공과 농자재 품질관리 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재단 오권영 시험분석본부장은 “지속적으로 국제 숙련도 평가에 참여하여 국제수준의 분석능력을 바탕으로, 신속·정확한 분석서비스 제공하고 유해물질이 농산물 생산에 사용되는 것을 사전 차단하여 안전 농산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도드람테마파크, 개점 11주년 기념 할인행사 눈길 끌어
한돈 전문식품 브랜드 도드람(조합장 박광욱)은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도드람테마파크 개점 11주년을 맞아, 5월 10일부터 23일까지 ‘11주년 감사 大축제’를 슬로건으로 한 대규모 할인행사와 고객사은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도드람테마파크는 2014년 6월 문을 연 이후 하나로마트, 정육식당, 약 370평 규모의 대형 키즈랜드를 함께 운영하며 도드람 브랜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6차 산업의 대표 성공 사례로 꼽히며, 오프라인에서 도드람의 가치를 전하는 핵심 채널로 역할을 해왔다. 이번 행사는 지역 고객의 지속적인 관심에 보답하고, 고물가 시대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테마파크 내 주요 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혜택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먼저 하나로마트에서는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생필품 등 생활밀착형 상품을 중심으로 물가안정 특가 프로모션을 운영한다. 도드람의 대표 제품인 도드람한돈을 행사 기간 동안 파격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며, 한돈 가공식품은 최대 50%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5월 1일 새롭게 리뉴얼한 정육식당에서는 도드람한돈 오겹살과 목심을 한근에 9,900원의 실속 있는 가격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 ‘밀원식물’ 식재 행사 가져
한국농어촌공사는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9일 강원 양양군 달래저수지에서 밀원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꿀벌 귀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양봉협회 강원지회, 트리플래닛, 비콥인증기업 등 40여명이 참석해, 저수지 유휴부지에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인 오동나무 묘목 200그루와 유채를 심었다. 최근 이상기후,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벌집 군집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수분에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생태계 회복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는 2022년부터 ‘꿀벌 귀환 캠페인’을 추진해 오고 있다. 밀원식물을 심어 꿀벌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꿀벌 귀환 심포지엄’을 개최해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최구순 한국농어촌공사 총무인사처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꿀벌의 서식지가 줄어들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이번 식재 행사를 계기로 꿀벌 보호는 물론, 지역 양봉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앞으로도 꿀벌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