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간척지 '풀사료' 수확량 19% 더 늘린 노하우(?)

농촌진흥청, 우리 목초 ‘그린마스터 2호’ 활용 간척지 초지 조성 성공
"수입 품종보다 생산량 19% 많고, 흙먼지 발생 감소 효과 거둬"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여러해살이 볏과 목초인 톨페스큐 국산 품종 ‘그린마스터 2호’를 활용해 간척지 초지 조성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린마스터 2호’로 간척지에 초지를 만들면 연간 3회 이상 풀사료를 수확할 수 있고, 가축을 방목할 경우에는 4월부터 10월까지 이용할 수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이 개발한 ‘그린마스터 2호’는 환경 재해에 강해 덥고 습한 우리나라 여름철 기후에 잘 적응하는 품종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염류(소금기) 농도가 0.2∼0.3%인 간척지에 톨페스큐 6품종을 파종해 품종 비교 시험을 수행했다.

2019년 한 해 동안 총 4회 수확한 결과, 국산 품종 ‘그린마스터 2호’와 ‘그린마스터’가 외국 품종에 비해 잘 자라고 생산성도 높았다.

건물(마른풀) 기준 1헥타르(ha)당 풀사료 생산량은 국산 품종 ‘그린마스터 2호’가 15.8톤으로 외국 품종 ‘파운’ 13.3톤보다 약 19% 더 많았다.

 

국립축산과학원은 톨페스큐 품종 비교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국산 품종 ‘그린마스터 2호’를 이용한 간척지 초지 조성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지난해 9월, 염류 농도 0.2∼0.3%인 간척지 2.5 헥타르(ha)에 ‘그린마스터 2호’를 파종하고 올해 5월 상순 생육 조사에서 톨페스큐의 초장이 76cm 이상으로 잘 자란 것을 확인했다.

 

 

간척지에 ‘그린마스터 2호’를 재배하면 한 해 동안 1헥타르(ha)당 풀사료 15.8톤(건물기준)을 생산해 630만 8천 원의 조수입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작물이 토양 표면을 덮어 흙먼지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도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천동원 초지사료과장은 “염분이 많아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 어려운 간척지에 톨페스큐 국산 품종을 활용, 초지를 만들면 풀사료 생산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라며, “앞으로 간척지 톨페스큐 초지 조성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재배 시 어려운 점을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