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쌀 언제쯤 살까?..."2∼3개월에 한번씩"

농촌진흥청 농업빅데이터일자리팀 이승인 박사, 소비자 약 1만명 쌀 소비패턴 분석 결과 발표
즉석밥 ‘먹지 않는다’ 73%...쌀 구입 주기 ‘2∼3개월에 1번’이 최다

우리 국민이 주식이자 건강에 이로운 웰빙 곡물인 쌀을 구입할 때 가장 많이 확인하는 정보는 가격ㆍ생산지역ㆍ원산지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햇반’ 등 즉석밥을 먹지 않는다”는 비율은 70% 이상이었다.

 

2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농촌진흥청 농업빅데이터일자리팀 이승인 박사가 2013∼201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수행한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를 토대로 총 9,664명의 쌀 소비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쌀 선호도 인식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한 종단적 연구)는 ‘상품학 연구’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국내 소비자의 쌀 구입 주기는 ‘2∼3개월에 1번’이 46.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연 2∼3회’(23.3%), ‘월 1∼2회 이상’(20.6%) 순이었다.  자주 먹는 밥의 유형은 ‘잡곡밥’(54.7%)이 ‘백미밥’(25.5%)의 두 배 이상이었다. 

 

쌀 구매 시 최우선 고려하는 것은 품질(37.6%)로, 가격ㆍ맛보다 중시했다. 영양(건강)을 고려하는 비율은 의외로 낮았다(5.3%). 소비자가 쌀을 살 때 가장 먼저 살피는 정보는 가격(21.7%)이었다. 생산지역(21.4%)ㆍ원산지(19.0%)를 확인하는 사람도 많았다. 

 

씻어 나온 쌀ㆍ수입쌀의 구입 비율은 10%에도 미달했다. 친환경 인증쌀ㆍGAP 인증쌀을 구입해 본 경험이 없는 소비자의 비율도 각각 67.9%ㆍ66.9%에 달했다. ‘햇반’ 등 즉석밥은 73.3%가 ‘구입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 박사는 쌀 소비자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가격추구형ㆍ건강과 식도락 추구형ㆍ저관여형(쌀을 대개 무심코 사는 유형)ㆍ간편식 도시락 추구형으로 분류했다. 

 

가격 추구형은 쌀을 직접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건강과 식도락 추구형은 수입쌀을 먹을 의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인증 쌀ㆍGAP 인증쌀을 자주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간편식 도시락 추구형은 수입 쌀 먹을 의향이 가장 높은 반면 잡곡밥 섭취 비중이 낮았다. 씻어 나온 쌀ㆍ수입 쌀ㆍ즉석밥 등을 자주 구매하는 비율도 최고를 기록했다.

 

 한편 쌀은 다이어트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쌀을 자주 먹는 사람은 과체중ㆍ비만 위험이 적다. 2013년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백미나 현미를 섭취하면 포만감이 커졌다. 지방이 거의 없으며 글루텐 등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