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쌀 언제쯤 살까?..."2∼3개월에 한번씩"

농촌진흥청 농업빅데이터일자리팀 이승인 박사, 소비자 약 1만명 쌀 소비패턴 분석 결과 발표
즉석밥 ‘먹지 않는다’ 73%...쌀 구입 주기 ‘2∼3개월에 1번’이 최다

우리 국민이 주식이자 건강에 이로운 웰빙 곡물인 쌀을 구입할 때 가장 많이 확인하는 정보는 가격ㆍ생산지역ㆍ원산지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햇반’ 등 즉석밥을 먹지 않는다”는 비율은 70% 이상이었다.

 

2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농촌진흥청 농업빅데이터일자리팀 이승인 박사가 2013∼201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수행한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를 토대로 총 9,664명의 쌀 소비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쌀 선호도 인식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한 종단적 연구)는 ‘상품학 연구’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국내 소비자의 쌀 구입 주기는 ‘2∼3개월에 1번’이 46.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연 2∼3회’(23.3%), ‘월 1∼2회 이상’(20.6%) 순이었다.  자주 먹는 밥의 유형은 ‘잡곡밥’(54.7%)이 ‘백미밥’(25.5%)의 두 배 이상이었다. 

 

쌀 구매 시 최우선 고려하는 것은 품질(37.6%)로, 가격ㆍ맛보다 중시했다. 영양(건강)을 고려하는 비율은 의외로 낮았다(5.3%). 소비자가 쌀을 살 때 가장 먼저 살피는 정보는 가격(21.7%)이었다. 생산지역(21.4%)ㆍ원산지(19.0%)를 확인하는 사람도 많았다. 

 

씻어 나온 쌀ㆍ수입쌀의 구입 비율은 10%에도 미달했다. 친환경 인증쌀ㆍGAP 인증쌀을 구입해 본 경험이 없는 소비자의 비율도 각각 67.9%ㆍ66.9%에 달했다. ‘햇반’ 등 즉석밥은 73.3%가 ‘구입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 박사는 쌀 소비자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가격추구형ㆍ건강과 식도락 추구형ㆍ저관여형(쌀을 대개 무심코 사는 유형)ㆍ간편식 도시락 추구형으로 분류했다. 

 

가격 추구형은 쌀을 직접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건강과 식도락 추구형은 수입쌀을 먹을 의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친환경인증 쌀ㆍGAP 인증쌀을 자주 구매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간편식 도시락 추구형은 수입 쌀 먹을 의향이 가장 높은 반면 잡곡밥 섭취 비중이 낮았다. 씻어 나온 쌀ㆍ수입 쌀ㆍ즉석밥 등을 자주 구매하는 비율도 최고를 기록했다.

 

 한편 쌀은 다이어트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쌀을 자주 먹는 사람은 과체중ㆍ비만 위험이 적다. 2013년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백미나 현미를 섭취하면 포만감이 커졌다. 지방이 거의 없으며 글루텐 등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