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코로나19' 채널별 정보량 '언론 뉴스' 최다…트위터 '부정글' 압도적

1월20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이달 17일까지 채널별 총 정보량 조사
뉴스 34%…트위터, 긍정률 대비 부정률 14배 높아 '블로그'와 대조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가장 많이 언급한 채널은 언론사 '뉴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트를 특성별로 분류한 온라인 '채널' 중에서는 '트위터'의 부정어 비율이 가장 높은데 비해 '블로그'는 긍정어 비율이 가장 높아 대조를 보였다.

 

4월 18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가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1월20일부터 이달 17일까지 89일간 감염병 데이터량을 집계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 기간 코로나19(신종 바이러스, 우한 폐렴 키워드 포함) 포스팅 총 정보량은 1922만6,259건이었다.

 

이 가운데 뉴스가 665만6951건(34.62%)으로 가장 많았으며 블로그 400만4250건 20.83%, 카페 226만1716건 11.76%, 트위터 207만6398건 10.80%, 커뮤니티 199만5234건 10.38%, 인스타그램 160만3698건 8.34% 순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5개 채널의 정보량은 각 20만건 미만으로 점유율은 1%가 안된다. 최근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유튜브 역시 13만6609건으로 0.71%에 그쳤다.

 

코로나19 '채널별 감성어' 비율을 살펴본 결과 '긍정률'이 가장 높은 곳은 블로그로 52.4%였다. 블로그의 부정률은 21.4%에 그쳐 긍정률이 부정률보다 2.4배나 높다. 

 

긍정률 순위로 카카오스토리가 32.5%로 뒤를 이었으며 청와대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검찰 등 정부/공공 사이트가 31.9%를 기록했다.

긍정률이 가장 낮은 채널은 트위터로 1.9%에 불과했으며 유튜브가 3.3%였다. 

 

부정률이 가장 높은 채널은 '지식인'으로 43.3%에 달했다. 이는 빅데이터 감성어에서 흔히 부정어로 분류되는 '호흡 곤란' '두통' '발열' 등 코로나 증상에 대해 묻는 글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어 커뮤니티가 39.0%, 기업/단체 33.4%, 페이스북 32.9% 순이었다.

부정률이 가장 낮은 채널은 인스타그램으로 15.1%에 불과했다.

 

긍정률 대비 부정률이 가장 높은 채널은 '트위터'로 긍정률은 1.9%인데 비해 부정률은 27.4%로 나타나 부정률이 긍정률보다 14배나 높았다. 즉 중립 게시글을 제외할 경우 포스팅 글 14개중 하나만 긍정 포스팅이고 13개는 부정적인 내용이란 뜻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의 경우 감염병 극복을 위한 응원 메시지나 예방 수칙등의 글이 많이 포스팅돼 긍정률이 높았다"면서 "정치 분야와 마찬가지로 감염병 관련글에서도 트위터의 부정률이 매우 높았다"고 밝혔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집밥' 보양식 트렌드... ‘한돈’ 찾는 이유?
다가오는 8월 9일 말복, 올여름의 마지막 복날이 코앞이다. 연일 ‘역대급 폭염’과 ‘최장 열대야’라는 말이 뉴스에 오르내릴 만큼, 올해 여름은 유난히 덥고 지치는 날들이 계속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5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온열질환자는 3,12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배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체력을 보강하고 몸을 다독이기 위한 보양식 수요도 덩달아 높아지는 분위기다. 최근 보양식은 예전처럼 비싸거나 진한 국물 요리를 즐기기보다는, 트렌드에 맞춘 ‘가성비 좋은 집밥 보양식’이 인기를 끌고 있다. 복잡한 한 상 차림보다는 간편하면서도 영양을 제대로 챙길 수 있는 식단이 선호되는 것이다. ■ ‘가성비·집밥·간편식’… 달라진 보양식 풍경 최근 입맛의 세분화와 미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양식을 중장년층만의 식문화로 여기던 인식이 점차 바뀌고 있다. 복날 메뉴도 과거 한, 두 가지로 고정된 것에서 이제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진화중이다. 뜨거운 국물 대신 간편한 영양 보충을 선호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며, 보양식 역시 시대에 맞게 재해석되고 있다. 특히, MZ세대와 1~2인 가구를 중심으로 ‘보양식=외식’ 공식이 서서히 깨지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말복날 앞두고 ‘염소탕’ 주목... 알고 먹으면 더 든든한 복날 보양식
8월 9일(토) 말복날을 앞두고 염소고기 시장에 말복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여름철 복달임 음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염소 고기의 영양적 가치와 함께 가정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염소탕’ 조리법을 소개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염소 고기는 6~8월에 전체 생산량의 약 30%(2023년 기준)가 집중될 만큼 여름철에 많이 생산된다. 이는 여름철 보양식으로서 염소 고기에 관심이 많고 소비 또한 적지 않다는 방증이다. 우리나라 전통 의학서 ‘동의보감’ 에는 염소 고기가 체력 보강, 피로 해소, 소화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기록이 있다. 실제로 염소 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적어 고단백·저지방 식단을 선호하는 현대인에게 적합하다. 또한, 칼슘과 철분이 많아 뼈 건강과 혈액 생성에 도움이 되고, 몸에 활력을 주는 비타민 이(E)와 비(B)가 들어 있어 여름철 기력 회복 음식으로 제격이다. 염소 고기는 쇠고기처럼 등심, 목심 등 10개 부위로 나뉘며, 붉은색을 띤다. 고기 조직이 부드럽고 질기지 않아 탕, 수육, 불고기 등으로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고,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기기에 좋다. 염소 고기는 조리 전 잡내를 줄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