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작물 현장실측 강화...'농업관측' 분석력 높아질 듯

농산물 수급정책 및 농업인 영농의사결정 지원 강화
20년산 마늘은 평년 대비 증가, 양파는 평년보다 감소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 농업관측본부는 농업관측의 정확도를 높여 정부의 수급정책 수립 지원을 강화하고, 농업인의 영농의사 결정에 보다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농업관측 20여년 역사상 처음으로 실측조사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 도입한 마늘‧양파 표본농가 재배면적 실측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2019년산 마늘 가격 약세로 전년보다 9%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2% 증가한 25,090ha로 추정된다. 2020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019년산 양파 가격이 낮게 형성됨에 따라 전년보다 18%, 평년보다 12% 감소한 17,930ha로 추정된다.

 

전화조사를 활용한 농업관측본부의 기존 재배면적 추정치(12월 전화조사치)와 비교시 20년산 재배면적 추정결과는 마늘 0.1p% 증가, 양파 3.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측조사는 그간 전화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답자의 부정확한 응답이나 비표본오차 발생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 문제를 보완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산지 정보 수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올해부터 새롭게 도입 시행되는 조사방법이다. 

 

관측본부에 따르면 재배면적 실측은 조사원이 직접 농가를 방문해 재배 사실 여부를 확인한 후 농가와 함께 실제 재배포전의 면적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지적(地籍) 정보와 지리정보시스템(GIS) 정보를 활용해 평방미터(㎡) 단위까지 정밀하게 측정되므로 보다 정확한 면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측 조사 결과는 지난 1월 마늘이나 양파를 재배하는 1,562호 농가에 대해 조사한 후 2월 조사 자료를 집계하여 통계적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다.

 

 

관측본부는 마늘·양파 재배면적 실측에 이어 생육 및 생산량 실측도 추진할 계획이다. 재배면적 실측조사시 대상 농가별 대표 필지 1개소와 필지 내 3개의 표본구역(각 1평)을 설정하였고, 2월 15일부터 6월 11일까지 총 11회의 생육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수확 직전에는 실제 구중(구당 무게)을 측정해 단위당 수확량을 조사하는 생산량 실측도 추진한다. 11회의 생육조사 결과는 조사 직후 공표해 산지의 작황에 대한 정보를 전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계획이다.

 

관측본부는 올해 처음 실측기반의 산지정보 조사체계를 도입한 만큼, 과거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높은 관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시장 새바람 “크고 쫄깃한 이색 느타리 뜬다”
흔히 새송이버섯으로 불리는 큰느타리버섯은 크기가 크고 활용성이 뛰어나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버섯이다. 시설 자동화 등으로 최근 생산량이 6% 정도 늘었지만, 가격은 10%가량 하락해 대체 품종을 찾는 농가가 많았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자체 개발한 교잡 느타리 ‘설원’과 ‘크리미’가 현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이들 품종이 농가 소득 증가는 물론 소비자 선택 폭을 넓히는 데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설원’과 ‘크리미’는 백령느타리와 아위느타리를 교배해 각각 2015년과 2018년 개발한 품종이다. 아시아에서 많이 재배하는 백령느타리는 맛과 향이 뛰어나지만 15일 이상 저온 처리해야 하는 등 재배가 까다롭다. 반면 아위느타리는 저온처리 없이도 큰느타리와 비슷한 환경에서 생산할 수 있다. 두 버섯의 장점을 살린 교잡 느타리는 식감이 좋고 재배가 쉽다. ‘설원’은 큰느타리보다 갓 부분이 3~4배 정도 크고 대가 3배 정도 굵으며, 식감이 더 부드럽다. 농가 2곳에서 생산해 2023년부터 대형마트 2곳에 입점, 꾸준히 판매 중이다. 특히, 소비자들 사이에서 “크기에 놀라고 고기를 씹는 것 같은 식감에도 놀랐다”라는 긍정적인 구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