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전국 축산물품질평가 최고 대상에...박태환 '한돈농가' 뽑혔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제17회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올해 최고 한우, 한돈, 육우, 계란농가 선정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대통령상 박태환 한돈농가, 국무총리상 김용태 한우농가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한우농가 구희선, 한돈농가 이재형, 육우농가 정봉구, 계란농가 김주홍씨가 뽑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와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은  ‘제17회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 결과를 12월 12일 발표했다.

 

올해로 17회째를 맞는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은 그 해에 가장 좋은 품질의 한우, 한돈, 육우, 계란 생산 농가를 선정한다.

이를 통해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축산농가의 고품질 축산물 생산의욕을 고취하고 있으며, 우수 축산물 생산모델을 발굴하여 노하우를 공유해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올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그동안 축산물품질평가원 본원에서 개최했던 시상식을 각 수상자의 소재지 관할인 8개 지원에서 개최한다.

축평원은 선정기준 마련, 등급판정 결과 데이터 분석, 현장실사의 절차를 거쳐 최종 선정위원회에서 우수농가를 확정지었다.

 

영예의 대통령상은 한돈부문의 박태환 농가로 현재 4,300여두(모돈 315두, 자돈 1,497두, 비육돈 2,502두)를 사육하며 평가기간 동안 5,334두를 출하하여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이 전국 평균인 31.8%보다 20.8%p 높은 52.6%로 나타났다.

 

또한, 박태환 농가는 단순히 고수익을 위한 양돈에 머물지 않고 소비자에게 전해지는 품질까지 고려하여 자연친화적인 양돈장 신축, 사양프로그램 준수, 대학과의 공동연구 등 지속가능한 양돈산업 구축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국무총리상은 한우부문 김용태 농가로 260여두(번식우 168두, 비육우 56두, 송아지 34두) 사육규모이며 평가기간 동안 37두를 출하하여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이 전국 평균인 60.0%보다 34.6%p 높은 94.6%를 달성하였다.

김용태 농가의 경우 외부에서 송아지를 구입하지 않고 100% 자가 생산한다. 평균 출하시기가 26.8개월로 전체평균 30.5개월보다 3.7개월 빠르고 등지방두께가 평균대비 68%에 불과(9.4mm)하며 등심단면적은 평균 94㎠에 달한다. 12월 1일부터 변경된 쇠고기 품질평가 기준 개정의 방향성에 부합하는 우수한 모델이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은 각 축종별로 한돈부문 이재형 농가, 한우부문 구희선 농가, 육우부문 정봉구 농가, 계란부문 김주홍 농가가 수상하였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장승진 원장은 “소비자 요구에 맞는 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우수 축산물 생산기반을 확대하겠다”며, “특히 대통령상을 수상한 박태환 농가와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김용태 농가의 사양 방식은 국내산 축산물 품질개선의 방향성과 부합하는 우수 모델로서 사양기술을 널리 전파하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