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韓·日 산림발전을 위한 산림조합 대표자 간담회

한-일 산림산업 발전 기대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이석형)는 지난 10월 6일(토) ‘2018 대한민국 산림문화박람회’가 열리는 강원도 인제군에서 일본 전국삼림조합연합회 대표이사 회장인 村松二郞(무로마츠 지로)를 초청, `韓·日 산림발전을 위한 산림조합 대표자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양국의 산림조합간 상호 교류를 통해 사유림경영지도 활성화는 물론, 아시아 산림강국으로써 산림발전을 위한 역할을 다하고자 개최되었으며, 한·일 국가간 산림조합 발전을 위한 상호협력에 관한 사항과 ICA-AP(국제협동조합연맹-아시아태평양) 산림분과위원회의 발전방향을 논의 하였다.

 

간담회에서 산림조합중앙회 이석형 회장은 “이번 2018 대한민국 산림문화박람회 방문이 앞으로 한·일 국가 간 산림발전을 위한 상호교류의 첫 출발점이 되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하였으며, 일본 전국삼림조합연합회 대표이사 무로마츠 지로(村松二郞) 회장은 “나무를 여러 가지로 활용하는 지혜가 발걸음을 멈추게 하였다.”고 밝히고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발상의 지혜를 배우고 상호교류를 통한 한·일 국가 간 산림조합이 발전하도록 협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하였다. 

 

2015년 말 기준 우리나라 산림면적은 633만 5000ha로 국토의 63.2%를 차지하고 있으며 OECD국가 중 핀란드(73.1%), 일본(68.5%), 스웨덴(68.4%)에 이은 4위의 산림비율로 산림국가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또한 한국의 산림조합은 ICA-AP(국제협동조합연맹-아시아태평양) 산림분과위원회 위원장의 지위를 확보하며 아시아, 태평양지역 협동조합간 산림분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명칭에서 한국은 산림조합(山林組合) 일본은 삼림조합(森林組合)으로 불리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협동조합 문진섭 조합장, "'저지밀크푸딩' 출시...프리미엄 디저트 시장 공략할 것"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국산 저지우유(Jersey Milk)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신제품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출시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디저트 시장 규모는 지난 2014년 8000억 원에서 지난해 1조 5000억 원으로 10년 만에 약 8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부드러운 식감과 달콤한 맛이 특징인 푸딩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유통업계에서는 일본의 유명 푸딩을 독점 판매하거나 독자적으로 푸딩 제품을 개발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에 서울우유는 고품질 원유 경쟁력을 앞세워 높은 유지방 함량으로 부드럽고 크리미한 풍미가 일품인 ‘저지우유’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새롭게 선보인다. 신제품은 서울우유 저지 전용 목장에서 생산한 국산 저지우유를 무려 83% 함유해 우유 본연의 진하고 부드러운 풍미가 특징이다. 일반 우유에 비해 단백질, 칼슘 등 영양소 함유량이 높아 로열 밀크(Royal Milk) 혹은 골든 밀크(Goldn Milk)라고도 불리는 ‘저지우유’는 영국 왕실 전용 우유를 만들기 위해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영국 해협의 저지섬에서 자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