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서울식품산업대전, 4천억 원 대 비즈니스 성과

‘SEOUL FOOD 2018’ 상담 실적 총 2,067건, 상담액 약 4천억 원대의 성과 올려

코트라(사장 권평오)는 국내 최대 규모이자 아시아 4대 식품산업 전문 전시회인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이하 SEOUL FOOD 2018)’ 4 5천여 명의 참관객들이 찾은 가운데 지난 4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올해로 36회째를 맞이한 ‘SEOUL FOOD 2018’는 국내외 식품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전시회로 이번 전시에는 총 47개국 1,469개 기업, 2,931개 부스가 마련되어 전 세계 식품산업의 트렌드를 소개한 것은 물론국내외 바이어와의 상담회와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됐다.

특히올해 전시회에서는 바이어들과 참가업체가 상호간 비즈니스 미팅을 자율적으로 진행하는 비즈니스 자율 매칭 서비스를 처음으로 선보여 보다 쉽고 확실한 비즈니스상담 기회를 마련해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상담 건수도 대폭 증가했다.

 

해외 바이어 수출 상담회는 글로벌 유통기업 22개사교포 바이어 53개사유력 바이어 157개사식품기기 바이어 25개사 등 총 257개사가 참여해 총 상담 건수 1,743상담액 약 2,800억 원에 달하는 성과를 기록했으며 국내 유통 바이어 상담회는 작년 대비 상담 건수가 130% 이상 증가해 2017 23개사 82명의 바이어가 참여해 총 240건의 상담이 이루어진 것에 비해 올해는 32개 유통업체에서135명의 바이어가 참여해 무려 324건의 상담이 진행됐다.

 

상담회에 참가한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상품의 품질이 더 좋아졌고 제품군도 다양해져 선택의 폭이 넓었다며 높은 만족감을 표현해 이번 상담회가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파괴적 기술혁신(Disruptive Food Technology)’이라는 주제로 열린 ‘ 2회 글로벌 푸드 컨퍼런스(Global Food Trend & Tech Conference 2018)’는 전 세계 식품산업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식물성 단백질, 3D 프린터 식품 개발 등 혁신 기술을 소개하고 글로벌 식품 시장에 대한 정보 교류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으로써 많은 호응을 얻었다

코트라는 참가객들의 호응이 높은 글로벌 푸드 컨퍼런스의 규모를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도 식품유통기업과 관심 있는 구직자를 연결시켜주는 ‘2018 서울푸드 잡페어’, 전시회 참가국 대상 와이너리와 와인을 대상으로 한 와인 전문 품평회 ‘와인 챌린지2018’ 등 신규 부대행사가 마련되어 많은 관심을 얻었다.

 

권평오 코트라 사장은 서울푸드는 국내식품기업의 해외수출 지원국내 식품업계의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 유도국내외 식품업계간의 정보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등 글로벌 식품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올해 전시회의 성과 및 국내외 식품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더욱 내실 있는 전시회로 지속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저탄소 농업에 박차!... '감탄' 벼 품종개발 화제
8월 18일은 쌀 산업의 가치 인식을 확산하고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지정된 '쌀의 날'이다. 쌀은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주식(主食)으로 자리해 온 중요한 곡물이다. 과거에는 생존과 직결된 식량이자 농경사회와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 작물이었고, 현대에는 농촌 경제의 중심이자 식품산업과 국가 식량안보를 견인하는 중요한 자원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최근 이상기후와 병해충의 증가, 온실가스 배출 문제 등으로 벼 재배 여건이 악화하면서, 쌀 생산을 둘러싼 농업 환경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메탄 발생을 줄이면서도 품질과 생산성은 갖춘 저탄소 벼 품종 ‘감탄’을 개발해 기후 위기 대응 및 농업 탄소 감축에 노력하고 있다. ‘감탄’은 유전자 조작 등 인위적인 방법을 쓰지 않고 자연적으로 벼에서 발생한 ‘지에스쓰리(gs3)’ 유전자를 전통 육종 방법으로 도입해 개발한 품종이다. 벼는 생장하면서 뿌리에서 메탄을 발생시키는 고세균 먹이 물질(메타노젠)을 배출하는데, 지에스쓰리 유전자는 이 물질이 적게 분비되도록 작동해 메탄 발생을 줄이고 대신 벼알을 굵게 하는 역할을 한다. - 2030년까지 농수축산업 온실가스 27.1% 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