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아카시아 벌꿀작황 '풍작예고'... 농가들 모처럼 화색

- 윤화현 양봉협회장 "양봉산업 생산가치도 중요하지만, 생태 공익가치가 몹시 커"
- 벌의 화분매개 시장가치만 6조 5천억원 넘어... 양봉산물 6천억원 시장
- 양봉협회와 농진청-검역본부 벌꿀작황 조사 "평년작 밑돌고 있지만, 대체로 풍작"
- 개화기 남부지역부터 중부지역과 북부지역까지 순차진행 때문
- 벌꿀 연간 생산량은 2019년 8만4천톤으로 평년작, 2020년 1만톤, 2021년 2만5천여톤 수확

 

예상과 달리 벌꿀작황이 풍작이라는 소식이다.
양봉협회와 농촌진흥청, 검역본부 등 관련기관단체들이 합동으로 현지 작황조사를 벌인결과, 5월 24일 현재 하동과 순천 등 남부지역과 안동, 예천, 세종, 천안, 이천 중부지역을 비롯한 파주, 연천, 철원 등 북부지역까지 벌꿀작황 전체 생산량은 평년작을 밑돌고 있지만, 대체로 풍작이라는 전문가들의 평가다.

현장 전문가들 조사결과 평년대비 40% 이상 생산량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양봉농가들도 "봄가뭄이지만 다행스럽게도 벌꿀 품질 수분함량이 19%~17%로 매우좋은 상태를 보이고 있어, 5만마리 벌통 하나에서 1주일에 1말 정도를 거뜬하게 뜨고있다"고 현장 소식을 전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양봉생태과 이만영 과장과 최용수 박사는 현장에서 "지난해 흉작, 지지난해 대흉작, 올해는 풍작을 보이고 있다. 풍작으로 4번 채밀결과 50kg 이상 나왔다. 평년작대비 30~40% 이상 수확되고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올봄 벌꿀작황이 대체로 풍작을 보이고 있는데는, 아카시아꽃을 중심으로 개화기가 남부지역에서부터 중부지역과 북부지역으로까지 순차적으로 진행이 돼서 양봉농가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5월이 지난이후 앞으로도 산간지역으로는 오리나무와 떼죽나무 벌꿀 생산량도 작황이 좋을 것으로 현지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벌꿀 풍작에도 불구하고 지난 월동기동안 벌이 사라진 피해를 본 농가들 수확량은 주변 벌꿀 풍작농가의 1/3 수준에도 못미치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또한, 올해 특이한 점은 꿀벌들이 생산하는 화분생산량은 평년작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벌꿀 연간 생산량은 2017년 7만9천톤, 2018년 4만1천톤, 2019년 8만4천톤(평년작), 2020년 1만톤, 2021년 2만5천여톤이 수확됐다.

 


한편, 윤화현 양봉협회장은 "양봉산업의 생산가치도 중요하지만 생태적 공익가치가 몹시크다"면서 "벌의 화분매개로만 6조5천억원 시장으로 세계 7대 농작물의 70%를 벌이 수정하고 있으며, 벌이 수정한 농작물은 품질도 높다"고 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윤 회장은 "올봄 가뭄속에 벌꿀수확이 다행스럽게도 평년수준을 웃돌고 있다"며 "이같은 대풍에도 불구하고, 벌이 사라진 피해여파로 양봉조합으로의 전체적인 납품실적은 50%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설명으로 벌의 사라진 피해여파가 여전함도 덧붙였다. <철원=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협회, ‘홍콩 K-한우’ 세미나서 수출 10주년 도약 다짐
전국한우협회(회장 민경천)는 ‘홍콩 K-한우 세미나 및 현지 판매장 교육’을 실시했다. 특히 올해는 한우 홍콩 수출 10주년을 맞이해 준비된 행사에 더욱 특별한 의미를 더했다. 지난 8월 12일, 홍콩 크로켓 클럽에서 열린 2025 홍콩 한우 세미나는 2015년 첫 수출 이후 10년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홍콩 주요 바이어와 유통 관계자, 한인 단체, 국내 수출사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민경천 전국한우협회장은 “지난 10년간 홍콩 시장에서 쌓아 온 신뢰와 협력에 감사드린다”며 “향후 10년의 한우 수출을 위해 수출사 차액지원 등 실질 지원을 확대하고, 수출 통합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해 현장의 혼선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관 천성환 부총영사는 “한우는 한국의 맛과 문화를 담은 귀한 자산”이라며 “홍콩이 세계를 잇는 허브로서 한우의 글로벌 확산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한우 수출 10년, 홍콩에서 세계를 잇다’’라는 주제발표에서 전국한우협회 정책지도국 김재광 과장은 “최근 시행되고 있는 홍콩의 경제력 분산 정책 흐름을 기회로 삼아 기존 하이엔드 레스토랑 위주의 한우 소비를 캐주얼 다이닝과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