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식품기술사' 노하우 신제품 개발 활용

농협경제지주-한국식품기술사협회, 식품 R&D 오픈 이노베이션 협력 MOU 체결!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와 (사)한국식품기술사협회(회장 오덕환)는 10일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농협식품R&D연구소에서 식품R&D·기술분야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식품기술사협회는 1989년 창립된 식품분야 현장경험과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식품기술사 923명을 회원으로 하는 단체로, 식품관련 컨설팅, 현장지도, 교육, 안전진단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협은 R&D 역량이 미흡한 지역농협 및 중소식품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의 식품 전문 개발자와 이들 기업을 연결하는 식품 R&D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농협의 플랫폼을 통해 협회 소속 기술사들이 가진 노하우를 신제품 개발에 활용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앞으로 양 기관은 국산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협업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농협경제지주 안호근 품목지원본부장은 “원물 소비는 줄고 가공식품 소비가 확대되는 식생활 소비 패턴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식품 R&D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라면서, “이번 업무협약이 농협의 식품사업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